▲아들 딸 구별말고 둘만낳아 잘 기르자는 가족계획구호가 우리 주위에서차츰 멀어질 것같다. 오히려 둘로는 모자란다 낳는김에 더 낳자는 새로운구호가 나올지 모른다. 우리나라 인구증가율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60년 3%에서 지난해에는 0·9%로 1%밑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이같은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오는 2021년 인구5천58만6천명을 정점으로 하여 증가가 정지되거나 오히려 감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인구가 감소하면 걱정스러운게 먼저 산업인력의 부족사태이다. ▲경제활동가능연령층인15~64세의 증가가 둔화돼 일손이 모자라게 되고, 반면에 고령인구가 늘어나부양을 위한 사회복지비의 부담이 무거워진다. 55세이상 고령자가 올해는 전체인구의 13·8%이나 2000년에는15%로 증가하고 2020년에는 27%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렇듯 선진국의 인구구조를 닮아가면 그게 문제인 것이다.▲유럽 선진국과 같은 출산비용의 정부부담, 출산휴가연장등의 장려책을 쓰기전에 우리는 먼저 억제정책을 느슨하게 해가야한다. 작년부터 적용하기시작한 '세번째 자녀'에 대한 부양비용의 세제혜택 학자금융자처럼 그 범위를 넓혀가야 옳은 것이다. 현재 두자녀에 한해 지급하고 있는 의료보험중 분만급여비도 제한을 없애는 구상이 있어야 한다. 이제 출산도 자연스러울때가된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