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실업 등 관련 학술대회

영남대사회과학연구소는 지난달 30일까지 이틀간 본교 국제관에서 '실업, 고용창출 및 고용관계에 관한 국제학술회의'를 열었다.

이원덕(한국노동연구원 부원장) 김동헌(한국노동연구원)씨는 '한국의 경제위기와 실업정책' 논문에서 경제위기 이후의 실업대책이 단시간에 수립·시행되었고 고용안정 인프라가 아주 미흡한 상태에서 고실업을 맞았기 때문에 실업대책이 효율적이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또 최근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임시·일용직 증가 등 고용불안정성이 심화됨에 따라 실업의 장기화 현상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사회안전망의 확충, 직업안정기관의 양적 질적 수준제고 및 훈련생의 기능·기술 수준을 고려한 수요자중심의 직업훈련체계 수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정부지원 인턴제와 전치효과'를 발표한 이효수·한동근 영남대교수는 정부지원 인턴제가 실업자를 줄이기 보다 오히려 전체 실업자를 늘릴수 있음을 지적했다.기업은 정부지원으로 인턴인력을 무료로 쓸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전략적으로 실업률을 높이려는 의도'를 갖게되고, 기업의 전략적 행태로 인한 노동수요의 감소가 정부지원 인턴의 수 보다 커지면 전체 실업자는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다.이번 학술대회에는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세계 각국에서 30여명의 교수들이 주제발표 및 토론에 참가했다.

이효수 영남대교수는 "우리의 실업률이 낮아지고 있지만 고용의 질은 크게 악화되고 있는데다 실업예방시스템을 확립하지 못한 상태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 효과에 대한 지나친 믿음이 확산되고 있다"며 대량실업 재발의 가능성을 경고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