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정보매수'공방 가열

언론대책 문건 사건과 관련, 여야가 금전 교부와 문건 전달의 연관성을 놓고 '매수공작' '사건 본질 희석 물타기'로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검찰이 진상규명에 나서 문건파문은 정치공방에다 법적 문제로까지 비화될 조짐이다.

게다가 문건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도 여야가 국정조사의 방법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어 향후 정치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

국민회의는 1일 오전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금전을 미끼로 정치권을 타락시킨 한나라당 정형근의원은 모든 진상을 밝혀야 한다"며 정의원이 평화방송 이도준기자에게 전달한 돈이 한나라당의 자금일 가능성에 대한 검찰의 진상규명을 촉구했다.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대가성없는 금품교부를 두고 여권은 매수공작으로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으나 문건사건의 핵심은 현 언론상황이 문건대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한나라당 이원형 부대변인은 이날 "이종찬-이도준 커넥션의 말 맞추기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종찬-문일현, 이종찬-이도준 커넥션의 실체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오전 국정조사 증인범위를 비롯 조사기간, 위원회 명칭, 조사내용 등을 놓고 총무협상을 벌였으나 여당의 '문건사건 경위 조사'라는 방침과 달리 한나라당은 "사건의 본질인 현 정부의 언론대책을 조사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국정조사권 발동을 위한 여야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또 여권은 문건사건의 확산이 향후 정치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아래 "한나라당은 조속히 국정조사에 응해 진상을 밝히자"고 나서고 있으나 한나라당은 국제언론인협회 등 3개 국제언론기구에 서신을 보내는 등 투쟁강도를 늦추지 않고 있다.

徐泳瓘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