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언론문건 파장-여.야 국정조사 협상

여야가 언론장악 문건과 관련된 국정조사 실시를 위해 1일 3당 총무회담을 열어 국정조사의 대상 및 기간, 증인채택 문제 등에 대한 조율에 착수했다.

그러나 여당은 이번 파문을 야당 측의 정치 공세로 규정, 문건의 허구성과 정보매수 공작을 부각시키겠다는 방침인 반면 한나라당은 중앙일보 사태 등을 근거로 이 문건에 따라 현 정권의 언론장악 기도 실행을 확인시키는 데 주력한다는 입장이어서 진통이 예상된다.

우선 조사대상과 관련, 여당은 문건의 허구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파문을 가능한 한 확산시키지 않는다는 전략아래 작성자와 전달자 쪽에 국한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문건 폭로자인 정형근 한나라당의원이 작성자 등을 미리 알고도 이강래 전청와대정무수석이라고 허위 주장을 폈을 가능성과 전달자인 이도준 평화방송기자가 정의원으로부터 1천만원을 받았다는 점을 중시, 정보매수 여부를 추궁키로 했다.

그러나 야당은 문건의 실행여부가 본질인 만큼 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입장아래 국정조사 명칭에 대해서도'언론장악 음모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로 미리 못박고있다.

같은 맥락에서 조사기간에 대해 여당은 가급적 단축시키겠다는 쪽이나 야당은 최소한 한달은 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또한 증인선정과 관련, 여당은 작성자인 문일현 중앙일보기자와 전달자인 이기자 및 폭로자인 정의원, 문건을 팩스로 받은 이종찬부총재 측의 비서관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반면 야당은 문건실행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청와대 등 권력 핵심인사들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즉 이부총재는 물론 이전수석, 박준영 청와대공보수석, 박지원 문화관광부장관 등을 출석시켜야 한다는 것.

게다가 여당은 이회창 한나라당총재의 문건전달 과정 등에 대한 사전 인지여부를 규명한다는 차원에서 그의 증언 가능성까지 흘리고 있으며 야당 역시 김대중대통령의 출석요구도 검토할 수 있다는 대응카드를 내보이며 안정남 국세청장과 천용택 국정원장의 출석도 요구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