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반도 식민통치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전면 부정하는 '역사 교과서'가 출간, 또 우리의 신경을 자극한다.
'니시오간지(西尾幹二)' 전기통신대 교수가 2002년부터 일본 중고교생들이 사용할 역사 교과서인 '국민의 역사'에서 일본은 한반도 식민통치기간동안 "나쁜 짓을 하지 않았다"는 등 궤변을 늘어놓았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납득이 안갈뿐 아니라 두나라의 선린우호 관계를 생각하더라도 납득할 수 없는 망언임을 지적치 않을 수 없다.
걸핏하면 자기네들의 한반도 식민통치가 무슨 선심을 베풀기라도 한 것인양 망언을 되풀이 하는 일인(日人)들인지라 또 되풀이되는 주기적 발작인가 하고 덮어 넘기려 해도 이번 경우 문제가 간단치가 않다.
시기적으로 일본의 우경화 추세가 가속화 되는 시점인데다 '니시오' 개인의 망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 교과서에 게재해서 2세들에게 왜곡된 역사를 가르치려 나섰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니시오는 한반도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배경을 설명한답시고 "한국인이 일본을 원망하는 것은 판단 착오이며, 그렇다면 그들에게 러시아 식민지가 된 편이 나았겠는가 묻고 싶다"고 떠벌리고 있다.
소위 대학교수라는 사람이 남의 나라를 침탈해서는 안된다는 인류사적 흐름을 외면하고 이처럼 막돼먹은 소리를 할 수 있는지 아연할 따름이다. 더구나 그가 일본의 고대사 부분을 언급하면서 일본은 한국이나 중국의 영향을 받지않은 별개의 문명권이라고 역사를 왜곡하면서까지 일본문명의 우수성을 주장하고, 나아가서 식민통치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아예 말문이 막힌다.
우리는 이처럼 이미 상식화 되다시피한 문명의 전달과정을 왜곡하면서까지 식민통치를 미화하려는 '니시오'의 억지 논리에서 최근 발호하고 있는 일본 극우 세력의 움직임을 느끼며 이에 대한 경계심을 새삼 갖게된다. 일본의 보수 우익들은 이제 일반 국민들을 상대로 일본 군국주의의 한국 식민통치를 당연한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게끔 선전 공세를 가열화 하고 있고 그 단적인 예가 니시오의 망언이라 보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우리는 니시오의 망언을 계기로 일본 사람들의 의식속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에 대한 인식이 과연 어떤 것인가 새삼 깊은 회의를 갖게 된다. 밉든 곱든 21세기에는 한국과 일본은 어쩔 수 없이 공조하면서 살아가야할 것이다. 그런만큼 한일 관계의 앞날을 위해서도 또 일본의 앞날을 위해서는 '니시오'류의 망언은 되풀이 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