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유도 사건을 맡은 강원일(姜原一) 특별검사의 수사팀 운용방침에 반발, 김형태(金亨泰) 특검보 등 5명이 사퇴하거나 이탈 의사를 밝히면서 불거진 내분사태가 과연 봉합될 수 있을까.
이미 사표를 제출한 고태관 변호사를 제외한 김 특검보 등 4명은 2일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들이 제시한 4개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특검팀에 합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강 특검은 이에 대해 강희복(姜熙復) 전 조폐공사 사장을 예정대로 3일 소환하는 등 김 특검보 등이 없는 상태에서 수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검찰과 국정조사를 통해서도 의혹이 풀리지 않아 헌정사상 최초의 특검제가 도입돼 특별검사 몫으로 넘어갔던 파업유도 사건 수사가 최대의 난관에 봉착한 셈이다.
게다가 민주노총, 경실련, 참여연대 등 노동.사회단체들도 이날 이번 사태와 관련한 성명을 잇따라 내고 파업유도 특별검사 수사팀의 전면 재구성을 촉구하고 나서는 등 파문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특히 일부 수사관들의 이탈의사 표명으로 흠집을 입은 강 특검이 사태를 수습하지 않은 채 수사를 강행할 경우 수사결과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일게 뻔한 만큼 모종의 타협안이 나와야 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사태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강 특검과 김 특검보가 파견검사 및 검찰출신 수사관의 수사참여 배제 등 핵심 쟁점을 놓고 한치도 양보하지 않을 태세여서 돌파구는 보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특검팀 내부에서 조차 강 특검과 김 특검보중 한쪽 편으로 서로 갈려 사태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강 특검은 사태발생 즉시 기존 수사팀을 재편성하는 등 수사진행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발빠른 조치를 취하는 한편 사표제출을 거부한 김 특검보 등 4명은 해임조치하지 않고 있으며 자진 사퇴한 고태관 변호사에게는 복귀할 것으로 종용하고있다.
이는 수사팀을 보강하지 않은 채 현상태를 유지하겠다는 뜻이어서 내분이 장기화될 것임을 예고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러나 김 특검보측은 사표제출을 거부하고 있고, 강 특검은 해임조치를 유보하고 있는 등 협상의 여지를 남겨 둔 상태여서 양측이 특검제의 명분을 살리는 방향으로 조금씩 양보, 화해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재야단체 대표로 선발됐다고 할 수 있는 김 특검보의 경우 파업유도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데다 강 특검로서는 수사결과에 대한 여론의 지지를 받아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봉합된다 하더라도 팀원간의 갈등의 골이 패일대로 패인만큼 원만한 수사진행을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