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야당의 4일 부산집회에 대해 언론문건 국정조사를 피해가기 위한 정치적 공세로 간주, 국회정상화가 어려울 경우 내주부터는 단독운영도 강행할 수 있다는 맞대응 전략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대야 강공책이 부담이 적지않다는 점을 의식한 듯 표적을 한나라당의 이회창(李會昌)총재에게서 정형근의원 쪽으로 낮추는 등 파문 확산을 막으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국민회의는 4일 오전 당무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갖고 부산집회를"지역감정 조장을 통해 현 수세국면을 벗어나겠다는 술책"이라고 맹비난한 뒤 단독국회 강행 등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새해 예산안은 물론 총선전략 차원에서 주력하고 있는 선거법 등 정치개혁 법안의 처리가 시급하다는 상황인식에 따른 것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전날 국민회의와 자민련 정치개혁특위가 관련 법안을 단독으로 국회에 제출키로 한 데서도 엿보인다.
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은"야당이 장외투쟁을 계속할 경우 여론의 추이를 지켜본 뒤 공동여당만으로 국회를 우선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국회 강행 움직임이 실제로 가시화되기엔 쉽지 않다. 문건 파문에 따른 비난여론으로 곤혹에 처해 있기는 여권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때문에 야당을 국회로 유인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이총재 측에 집중됐었던 공세를 정형근의원 차원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도 확전보다는 수습 쪽을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국정원 문건 반출문제로 궁지에 몰린 이종찬부총재에 대해서도 검찰에 조속히 출두, 진상을 밝히도록 거듭 설득하고 있다. 국정원이 이부총재에 대한 위법여부를 조사하겠다던 종전의 강경 방침에서 후퇴하고 있는 점도 이같은 기류와 무관치 않다.
이부총재도 이날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문건파문과 관련된 각종 의혹들에 대해 입장을 밝힌 뒤 검찰소환에 출두키로 했다. 물론 출당론 및 법적 책임론으로 까지 확산돼 왔던 그에 대한 강경론도 누그러지고 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