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회전목마-흡연 부작용의 책임은…

흡연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의 책임을 상당 부분 정부가 져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구경실련은 4일 흥사단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지난달 대구시민 403명(흡연자 136명·비흡연자 2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정부 차원의 흡연피해 홍보팀과 대책팀을 운영하는 한편 집단소송을 위한 법안을 마련해야하고 청소년이 쉽게 담배에 접근할 수 없도록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59.8%(257명)가 담배의 생산·유통·광고·판촉·판매에 대한 정부 규제가 부실하다고 반응했으며 62.5%(269명)는 흡연에 대한 법적·제도적·윤리적 제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특히 그중 32.6%(96명)는 금연구역이나 실내에서 흡연하는 사람을 발견했을 경우 적극적으로 제지한다고 답변, 혐연권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정부가 흡연으로 인한 질병 피해에 책임이 있느냐는 설문에도 응답자의 47.2%(203명)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또 조사대상자 중 73%(314명)가 18세 이하의 청소년에게 담배를 팔지못하게 돼있는 '청소년 보호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잘 지켜진다'는 대답은 15.3%(40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가 담배인삼공사를 통해 사실상 담배를 생산·판매하는 일이 타당한가'라는 설문에 대해서는 32.6%(140명)만이 '그렇지않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타당하다'는 응답자가 22.3%(96명)에 달했다. 또 설문자 중 48.6%(209명)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세 수입을 올리기위해 담배판매를 촉진함으로써 흡연을 조장한다'고 대답했다.

李宗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