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대책문건 파문으로 빚어진 여·야간 대립이 한나라당의 4일 부산집회에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을 겨냥한 원색적인 발언이 나온 후 '색깔론' 싸움으로까지 비화되는 등 대치상황이 심화되고 있다.
국민회의 이영일 대변인은 한나라당 정형근의원이 "덤터기 씌우는 이 정권의 행태는 공산당의 전형적인 선동수법이며 빨치산 수법"이라고 원색적인 표현을 구사한 데 대해 "정의원의 부산 발언은 과거 군사독재정치를 지탱해 온 용공조작과 지역감정을 동원한 구시대 공작정치의 전형"이라며 "정의원은 21세기가 되기 전에 청산돼야 할 민주주의의 공적 1호"라고 격렬하게 비난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김용수 부대변인은 5일 논평을 내고 "서경원같은 간첩죄 복역자를 내세워 공격하는 것은 의(義)고 서경원사건의 실체를 다시 되새기게 하는 것은 불의인가"라며 반박했다.
국민회의는 또 정의원이 "서경원 밀입북 당시 1만달러를 받은 김대통령은 노태우대통령에게 싹싹 빌고 겨우 곤경을 벗어났다"고 한 발언 등이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보고 검찰에 고소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도 5일 오전 총재단회의 후 기자회견을 갖고 "정의원과 한나라당의 색깔론 제기에 대해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나라당은 '김대중정권 언론말살 규탄대회'를 9일 수원에서 또 한차례 갖기로하는 등 장외투쟁을 계속할 방침이어서 국회복귀를 촉구하는 여권과 마찰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사철 대변인은 5일 주요당직자회의 후 "한나라당이 상임위 일정에 협조하지 않는 것은 결코 국회를 거부하자는 것이 아니다"며 "현 정권의 언론공작 음모가 어떻게 이뤄졌는가를 밝히기 위한 국정조사에 여권이 응할때까지 장외집회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회의는 한나라당이 계속 국회 복귀를 거부할 경우 내주부터 자민련과 함께 여권만으로 내년 예산안과 정치개혁입법 등 법안심의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徐泳瓘기자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