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국방위 與·野 한목소리

여야는 5일 오전 국회에서 조성태 국방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국방위를 열고 예천비행장 F-5F 전투기 추락사고와 관련, 사고 축소·은폐 의혹 등을 한 목소리로 추궁했다.

국민회의 권정달의원은"공군기 추락사고에서 가장 큰 의혹은 조사결과의 축소·은폐 사실 여부에 있다"고 전제한 뒤 "9월23일 부터 10월11일 까지 진상 조사를 벌여 점검체계 등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음을 확인했음에도 장관에게 즉각 보고하지 않음으로써 국방훈령을 어겼다"고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권의원은 또 "사고 비행기의 조종사인 김영관대위가 고도 2000피트 상공에서 탈출이 가능했는데도 이를 시도하지 않은 것은 지상관제탑 측에서 인명보다 비행기 살리기에 급급했기 때문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한나라당 허대범의원도"언론보도 후에야 사고조사 결과를 공개한 것은 당시 공군총장의 인사설이 나돌았던 상황임을 감안하면 장성인사를 앞둔 총장의 보신주의가 작용한 게 아닌가"라고 따진 뒤 "이번 사고에서도 재연됐듯이 각종 군내 사고에 대해 사실을 은폐하고 현장 지휘관에게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현 정권 국방부의 주특기"라고 힐난했다.

이들 의원은 또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서 4단계의 안전점검 장치가 있음에도 규정을 하나도 준수하지 않은 것은 공군의 군 기강 해이와 총체적인 안전불감증, 나아가 총체적인 안보위기를 드러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나라당 김덕의원은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한국군 형 인재'라고 부를 수 밖에 없다"며 "공군 전체 유류 탱크의 40%가 20년 이상 노후화됐고 30%는 시공도면 조차 없는 등 심각한 상황인 만큼 전면적인 조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자민련 이동복의원은 "이번 사고는 처음부터 끝까지 어느 한가지도 정상적이 아닌 상황속에서, 발생해서는 안되는 정도가 아니라 발생할 수 없게 돼 있는 일들이 한꺼번에 발생했다"며 "게다가 사고기가 단독비행이었기에 다행이지 만약 물을 급유했던 전투기 7대가 모두 비행했더라면 더 큰 사고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