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이종찬 부총재는 4일 기자회견에서 '언론대책 문건'과 관련, 자신에게 쏠리고 있는 모든 의혹에 대해 해명을 할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가급적 말을 아꼈다.
이날 오후 3시께 여의도 당사에 도착한 이 부총재는 검찰출두에 임하게 된 배경과 전 국정원장으로서 물의를 일으킨데 대해 사과했으나 기자들의 민감한 질문에는"검찰에서 밝히겠다"며 언급을 회피했다.
이 부총재는 그러면서도 언론대책 문건에 대해 "보지도 듣지도 못했다. 야당 주장대로 언론탄압 계획을 세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하며 "이번 사건은 기자가 보내온 문건의 해프닝"이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또 "검찰출두가 과연 옳은 것인지 여러날 고민했다"면서 "그러나 모든 일을 소상하게 설명하고 분명한 입장을 취하는 것이 좋다는 말이 있어 자진해서 나가게 됐다"며 검찰 출두 배경을 설명했다.
이 부총재가 이날 회견에서 대국민 사과와 함께 검찰출두 배경 등만을 밝힌 것은 당 지도부의 주문에 따른 것이라는 후문이다.
실제로 이 부총재는 회견에 앞서 이날 낮 서울 모처에서 한화갑 사무총장과 만나 기자회견 및 검찰출두 문제 등에 대해 최종적인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자리에서 한 총장은 "괜한 의혹을 증폭시키는 것 보다는 검찰에서 당당히 입장을 밝히는 것이 낫다"는 뜻을 전달한 뒤 "검찰조사를 앞둔 만큼 오늘 회견에선 가급적 말을 아끼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총재는 이어 김옥두(金玉斗) 총재비서실장, 이영일(李榮一) 대변인 등 다른 당직자들과 만나 대책을 논의, 검찰에 즉각 출두하되 문건 파문의 민감함을 감안해 '대국민 사과' 성격의 회견만을 하기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이 부총재 자신도 중요한 쟁점에 대해 말을 바꿔온 이상, 회견을 길게 할 경우 자칫 새로운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한편 이날 약 10분에 걸친 짤막한 회견을 마친 이 부총재는 공식적인 일문일답을 삼간 채 한화갑 사무총장실로 향했다.
그러나 취재진들이 통로를 막고 질문을 쏟아내자 곤혹스러운듯 입을 다물었지만 '문일현(文日鉉) 기자가 문건 작성을 사전 상의했는가', '문건을 보았는가' 등 자신과 직결된 질문에 대해선 분명한 어조로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하지만 '이도준(李到俊) 기자가 문건을 이회창(李會昌) 총재에 먼저 전달한 게사실인가', '문 기자와 통화한 녹취록이 있는가', '문 기자가 문건 작성전 중앙일보간부와 상의했는가' 등 '핵심질문'에 대해선 "검찰에서 밝힌 뒤 말하겠다"고 일관되게 답변, 묘한 여운을 남겼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