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가 6일 오전 6시(현지시간) 전국 투표소에서 입헌군주제 폐지와 공화제 도입을 묻는 역사적인 국민투표에 들어갔다.
이 투표에서 1천230만명의 유권자들은 영국 여왕 대신 자국 대통령을 국가 수반으로 하는 공화국으로 호주가 재탄생하기를 원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찬.반 의사 표시를 하게 된다.
호주 국민 대다수가 여왕제를 식민주의 시대의 유물이라고 여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국민투표는 '공화제 반대'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공화제를 도입하려면 국민투표에서 유권자 절대 다수의 표를 얻어야할 뿐만 아니라 호주내 6개주중 최소한 4개주에서 유권자 다수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그러나 지난 3-4일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47%가 공화제를 지지하는 반면 50%는 공화제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4개주에서 입헌군주제 지지자가 공화제 지지자보다 다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정부 개혁에 관심있는 유권자중 다수는 국민투표에 부쳐진 이번 제안이 너무 미온적이라면서 대통령 직선제를 주장하고 있다.
공화제 도입에 대한 찬반 양론이 뜨거워지면서 호주 정치권도 현재 양분돼 있는상태.
입헌군주제 지지자인 존 하워드 총리는 공화제 도입안이 현 정부체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전혀 없고 오히려 나라를 역경에 처하게 할 뿐이라고 주장하면서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공언했다.
반면 피터 코스텔로 부총리는 지구 반대편에 살면서 10년에 한 번씩 방문하는 여왕을 국가 수반으로 두는 일은 기회를 상실하는 것이 라면서 공화제 지지론을 주창했다.
한편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국민투표는 "호주인들의 문제"라고 전제하면서그러나 자신은 "열렬한 군주제 옹호자"라고 덧붙였다. 영국에 사는 호주 유권자 2만여명도 5일 런던에서 따로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호주는 지난 1901년 독립했으나 캐나다, 파푸아 뉴기니 같은 다른 영연방 국가들처럼 영국 여왕을 국가 수반으로 인정해왔다.
이번 국민투표에서 공화제 도입이 결정될 경우 호주는 독립 100년만인 2001년 1월 1일자로 세계 147번째 공화국이 된다.
투표의 초기 결과는 호주 동부지역에서 투표소가 문닫는 오후 6시 이후 곧 바로 알려질 것으로 보이며 공식 발표는 전국 투표소에 대한 집계가 끝나는 며칠 후에야 나올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