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MF2년 우린 어디에 서 있나-(1)지역경기

◈경제지표 느림보 회복

온 국민에게 혹독한 시련을 안겨준 IMF 관리체제에 들어선지 만 2년을 맞았다. 그동안 지역에선 대동은행을 비롯한 6개 금융기관이 문을 닫았다. 중견기업들이 줄줄이 워크아웃.화의.법정관리 대상이 되는 등 힘없이 주저앉았다. 가장들은 생계 터전을 잃고 길거리로 내몰리는 처절한 아픔을 겪었다.

그러나 IMF 2년을 지나면서 각종 경제지표들이 눈에 띄게 상향곡선을 긋고 있다. IMF체제의 직접적 원인이었던 외환 보유고는 당시보다 16배 이상 늘어났다. 주가.금리.환율 등 각종 경제지표들이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우려되는 변수들도 적지 않다.

새 천년을 앞두고 IMF 체제 조기졸업과 새로운 경제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지난 2년 동안의 각 분야별 변화상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 경제의 나아갈 바를 시리즈를 통해 모색해본다.

편집자주

한국은행은 10월 초순 올해 경제성장률(GDP)을 3개월전보다 2.0%포인트 높은 8.8%로 수정 전망했다. 2년전 5% 수준이던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사상최저 수준인 -5.7%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8.8%를 전망한 것이다.

경상수지 흑자도 230억달러를 넘을 전망이고 환율도 2년전의 1천146원에 근접한 1천200원선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28%까지 치솟았던 회사채금리도 9%대로 낮아졌고 국공채 금리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지표만 봐서는 우리의 실물경제가 완전 회복된거나 다름없는 느낌을 갖게 한다.

대구지역 각종 경제지표도 마찬가지다.

올들어 1~9월의 대구지역 평균 어음부도율은 0.31%로 전년 동기 0.63%의 절반을 밑돌고 있으며 2년전의 0.56%에 비해서도 훨씬 낮다. 1~9월의 부도업체 수는 376개로 IMF이후 지난해 말까지 2천581개에 비해 크게 줄었다. 지역 소비자물가는 2년전 연간 6.5%의 높은 상승률에서 지난 9월 0.4% 인상에 그치는 등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중소제조업 가동률도 지난 8월 72.7%로 2년전의 66.5%에 비해 훨씬 높아졌다. 실업률은 지난 9월 5.6%(6만4천명)로 2년전의 3.5%(3만6천명) 보다는 높지만 지난 2월의 9.1%(9만명)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다. 백화점세일행사에 고객들이 몰리는 등 잔뜩 움츠러 들었던 소비도 지난 추석을 전후로 되살아났다.

그러나 아직까지 불안요인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IMF 이전과 이후 2년 사이에 우리경제는 기본적으로 달라진게 별로 없다. 반도체 등 몇몇 주력분야가 수출과 성장을 주도하는 구조적 문제점과 소수 대기업 집단이 중추적 역할을 감당하는 현실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 과다한 공적자금 투입, 지나친 정부개입에 따른 금융기관의 자율성 결여 등 금융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다.지역경제가 호전되고는 있지만 속도가 더디다. 지역의 체감정도가 서울.경인지역보다 6개월 늦다는 점을 감안해도 회복세가 늦은 셈이다.

거품경제가 걷히면서 대구 산업구조의 취약성이 그대로 드러났다. 주택.건설경기에 의존하던 지역경제가 대표적 업체들의 부도.화의 등으로 함께 휘청거리게 된 것이다. 특히 유가상승, 수출감소, 고환율이 주종산업인 섬유.기계업의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역 경기를 이끌 대표적 선도기업이 없다는 점도 지역경제 회생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다. 삼성과 LG그룹 등이 주축을 이룬 구미지역에 비해 대구지역 수출이 3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이 단적인 예다. 지역기업들의 구조조정과 경제회생을 위한 외국자본 유치 및 매각대상 자산처분도 진척이 없는 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박의 병대구상의 조사부장은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강화하고 수출 및 지방경제 활성화대책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이라며 "제조업의 금융지원 확대 및 전후방 연관효과와 고용창출효과가 큰 대기업을 유치,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기업도 경영방식 혁신, 설비합리화, 자산매각, 소유권 분산 등을 통한 구조조정으로 체질강화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洪錫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