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이만섭 총재권한대행의 10일 선거법 협상 절충 발언이 한나라당에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한나라당은 공식적으로는 이대행의 발언에 대해 일절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선거법 협상에 대한 여권의 진의를 시사한 것 아니냐'며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은 대치정국 해법찾기에 나선 이부영 총무를 통해"김대중대통령이 선거법을 날치기 처리 하지않는다는 약속을 하라"며 압박을 가하고는 있지만 여권이 속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보고 협상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대행의 발언은 여권이 선거법개정안을 단독으로 제출해 놓은 상황에서 한나라당을 협상테이블로 유인하기 위한 '미끼'가 아니냐며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도 적지않다.
한나라당의 당론은 현행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다. 여야 협상을 통해 지역구와 전국구 의석을 일부 조정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여권이 이대행의 언급처럼 '소선거구제+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정식으로 제안할 경우 한나라당이 무조건 외면하고 기존당론만 고수하기는 어렵다. 당내에서는 그동안 '소선거구제+정당명부제'를 타협안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이 표출되기도 했기 때문이다. 김윤환 전부총재는 여권이 제시한 지역별 정당명부제보다는 전국적 정당명부제라면 고려할 만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이를 이회창총재에게 설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순봉 사무총장이 국민회의 한화갑 총장과 비공식 접촉에 나서고 있는 것도 선거법에 대한 여권의 본심을 확인하기 위한 수순 아니냐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나라당은 국민회의가 이처럼 선거법 협상의 애드벌룬을 띄우면서 명분만 쌓고 막판에 선거법을 날치기 처리할 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여야가 선거법 협상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면 비례대표의 숫자를 조정하는 선에서 '소선거구제+정당명부제'로의 절충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