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신당 창당준비위 어떻게 돼가나

여권의 신당창당 작업이 25일 창당준비위 발족을 계기로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현재 신당추진위가 계획하고 있는 창당준비위원 규모는 3천명 안팎으로, 국민회의 인사와 외부인사 비율이 4대 6 정도로, 외부인사가 많은게 특징이다.

국민회의에선 현역의원과 원외위원장은 물론 당무위원, 중앙당 사무처 실·국장과 부위원장급 이상 간부 등 대략 1천100명이 창준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또 외부인사로는 신진·개혁인사와 각계 전문가들을 포함해 전국적 인사를 고루 포함시킨다는 게 신당추진위의 방침이다.

창준위 출범과 관련, 무엇보다 관심을 끄는 것은 창준위 대표를 누가 맡을 것이냐는 점이다. 정당법상 창당준비위가 발족하면 당명(가칭)과 준비위 대표자 및 회계책임자를 신고토록 돼 있기 때문이다.

신당추진위 관계자들은 창준위원장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으며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구상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당내에서는 그저 △1인 위원장 △공동위원장 △4-5명의 복수위원장 등 다양한 방안들이 각각의 장단점과 함께 제기되고 있을 뿐이다.

먼저 1인 위원장안의 경우 국민회의 출신인사로 하느냐 아니면 외부 영입인사로 하느냐로 나눠지는데, 전자의 경우 신당의 취지가 바랠수 있고 후자의 경우 기존 당내 인사들의 소외감이 더할 수 있다는 부담이 있다.

이에 따라 현 신당추진위가 공동대표체제로 운영되고 있듯이 창준위도 공동대표로 갈 가능성이 높은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4-5명의 복수 위원장 체제는 신당의 당면 과제가 16대 총선승리에 있는 만큼 창준위 단계부터 지역별 분야별 대표성을 갖춘 중량급 인사들을 전면에 내세워 바람몰이를 하는게 선거전략상 유리하다는 근거에서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정기국회도 끝나지 않았고, 정치개혁 입법작업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권이 조기에 총선바람을 일으킨다는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어느 방안이 채택되든 구체적으로 누구를 신당의 얼굴로 할것이냐도 관심을 모으는 대목중 하나다.

일각에선 당내인사로 이인제(李仁濟) 당무위원과 김근태(金槿泰) 노무현(盧武鉉)부총재 등 개혁성향의 부총재들이 거론되고 있고, 외부인사로는 이수성(李壽成) 민주평통부의장과 이창복(李昌馥) 추진위원의 이름이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자민련과의 합당 등 주요 변수가 남아있다는 점에서 창준위원장에 차기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중량급 인사 보다는 실무형으로 인선을 하는 방안도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이만섭(李萬燮)-장영신(張英信) 신당추진위 공동대표가 다시 기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만만치 않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