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증인 범위엔 與野 신경전

여야가 15일 3당 총무회담에서 '언론문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함에 따라 지난달 25일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 의원의 폭로 이후 계속 증폭돼온 의혹이 결국 국회 차원에서 다뤄지게 됐다.

여야는 이날 회담에서 쟁점사항이던 △국정조사 특위 명칭 △증인범위 △특위구성안 △조사기간 등에 원칙적인 합의를 도출, 이날 밤 열린 본회의에서 조사특위구성 결의안 보고를 시작으로 국정조사를 위한 본격적인 수순에 착수했다.

여야는 이어 16일부터 각 당별로 조사특위 위원 선정에 나선 뒤 후속협의를 통해 국정조사계획에 최종 합의, 오는 19일 본회의에서 국정조사계획서를 통과시킬 계획이다.

이에따라 '언론문건' 국정조사는 조사계획서 통과후 20일 이내, 즉 내달 9일까지 국정조사 활동을 벌이게 된다.

여야는 총무회담에서 청문회를 내달 3일부터 9일까지 1주일간 실시하기로 잠정합의, 19일부터 내달 2일까지는 여야간 증인.참고인 선정문제를 협의하면서 자료검토, 예비조사를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증인 범위와 관련, 3당 총무들은 '언론문건에 관련된 사람'(추후 규명된 언론문건 관련된 사람 포함)으로 대략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증인선정 문제를 두고 앞으로도 적잖은 신경전을 벌일 전망이다.

여당은 이와 관련, 문건작성자인 문일현(文日鉉) 기자와 전달자인 이도준(李到俊) 기자 및 정형근 의원, 이종찬(李鍾贊) 부총재와 이 부총재의 비서진 2명 정도를 증인으로 제시할 것으로 보이나 한나라당은 문 기자와 통화한 고도원(高道原) 비서관 등 청와대 비서진과 중앙일보 관계자 등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중이다.

한편 국정조사특위를 11명(국민회의 4명, 자민련 2명, 한나라당 5명)으로 구성키로 합의함에 따라, 각 당은 조만간 특위 위원을 선임할 예정이다.

한나라당측에 배정된 조사특위 위원장에는 정창화(鄭昌和) 의원이 유력시 되는 가운데 박관용(朴寬用) 박희태(朴熺太) 의원 등도 거명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