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랑세기' 필사본 진위 논쟁을 불러 일으킨 서강대 이종욱교수의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소나무 펴냄)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나름대로 제시한 저작이다.
'100년 통설에 빼앗긴 역사를 찾아서'라는 부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 저자는 지난 100년간 한국사 연구자들이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불신하고, '삼국지 한전(韓傳)'을 중심으로 구축된 한국 고대사 체계를 통설로 받아들인데 대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 때문에 저자는 광개토왕비의 소위 '신묘년조'에 대한 연구를 재검토해 한국고대사 연구체계에 영향력을 발휘한 일본 황국사관의 민족주의 담론과 그 도구가 된 소위 실증사학의 문제점을 밝히고 있다. 또 통설이 아닌 사료에서 출발하는 연구시각과 건국 설화를 한국 고대사연구의 자료로 적극 이용하는 점, 금석문에 대한 새로운 해석, 비교사적 관점에서 새로운 연구주제의 확대 등 새로운 한국고대사 체계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