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맨 처음 읽은 책이 '엄마 찾아 삼만리' '클레멘타인'이란 만화였던 걸로 기억된다. 책장이 젖도록 울면서 읽었다. 책이 귀했던 시절이어서 나는 늘 책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있었다. 중학생이 되면서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었다. 학교에는 도서관이 있었고 거기에는 책이 많았다.
'좁은 문'을 읽었을 때 내게도 사랑의 대상이 생겼다. 'J'라는 가상의 존재를 설정해서 매일 편지 형식의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사춘기 소녀다운 치기였던 셈이다. 고등학교 3학년 때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와 '백경'을 읽었다. 그런 여유를 가질 수 없는 요즈음 학생들이 참 안됐다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성장을 하였고 아름다운 삶을 꿈꾸게 되었다.
이 세상에 책이 있다는 것은, 더구나 아무리 열심히 읽어도 다 못 읽을 만큼의 책이 있다는 사실이 정말로 좋다. 책이 좋아서 나는 책을 모았다. 부족한 용돈을 모아서 책을 사겠다고 남산동 헌 책방들을 기웃거리던 학창시절, 그 즐거움은 다른 어떤 것도 대신할 수 없었다. 요즈음은 기증본이 많아서 공짜로 책이 많이 생기기도 하고, 꼭 읽고 싶은 것 정도는 살 형편도 되어서 책이 참 많아졌다. 가지런히 꽂아 놓은 책들이 만든 띠는 참으로 곱다. 그 아름다움 속에는 역사, 사상, 정서, 무엇보다 인간의 고귀함이 스며있다.
얼마 전에 있었던 '한국 문학 작가대회'에서 '책은 영원하다'는 말이 나왔다. 그말이 나올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디지털이 모든 것을 다 입력하는 시대가 왔다는 것이다. 심각한 주제에 가볍게 던지는 소설가 김주영 씨의 말이 재미있고 또한 위안이 되었다. 아들 내외에게 안방을 내 주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아내에게 말했더니, 드라마를 보고 있던 아내가 돌아보지도 않고 "내 눈에 흙 들어가기 전에는 안돼요"라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디지털이 범람해도 버티면 된다고 하였다. 개석에 앉아서 나는 속으로 뇌었다. '책은 영원하다. 책을 읽으면서 버티고 있으면 책은 사라지지 않는다'.
나는 죽는 날까지 책 읽는 행복을 놓치고 싶지 않다. 나의 두 눈과 정신이 그 소망을 저버리지 않기를.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