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野 '박 전대통령 기념관' 총선후 추진 요구

25일 국회 예결위에서는 '박정희(朴正熙)전대통령 기념관 건립'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졌다.

무소속 이미경의원이 먼저 박대통령 기념관 건립에 국고지원이 결정된 배경을 물으면서 논란은 시작됐다. 이에 김종필(金鍾泌)총리는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민간단체가 추진하는 기념관 건립 등에 국가가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면서 "박전대통령의 재임시 업적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격동기에 재임했고 경제 도약 구축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데 국민들이 대체로 공감하고 있다"며 정부의 기념관사업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의원은 보충질의를 통해 "경제도약의 공로는 인정하지만 일면의 평가일 뿐이며 다른 측면에서 희생자들이 아직도 고통받고 보상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면서 "기념관이 아닌 자료관을 짓는 것이 어떠냐"고 되물었다.

김총리는 "남의 동냥으로 살아야 하는가 라는 민족의 잠자던 의욕을 불러일으키고 굶지 않는 세상의 토양을 일으켜 세운 분이 박대통령"이라고 강조했고 "어려운 것을 이겨낸 과정을 후생들에게 보여줄 역사적 과정이라 생각하며 이런 뜻에서 무의미한 짓이 아니라는 차원에서 김대중대통령도 결심하신 줄 안다"며 거듭 기념관 건립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한나라당 이신범의원도 논란에 가세했다. 이의원은 "미국에도 전직 대통령 기념관은 워싱턴, 링컨, 제퍼슨 3개 뿐"이라며 "경북지역의 표를 얻기 위해 서둘러 추진하지 말고 총선이 끝난 후 천천히 논의해 가며 추진하는 것이 어떠냐"고 지적했다.

이에 김총리는 "케네디도 센터가 있고 존슨은 물론 트루먼도 박물관이 있다"고 반박한 뒤 "한 시대에 기여한 분의 과정을 후세에 보여주기 위한 시설을 만들자는 게 잘못된 발상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물러서지 않았다.

한편 정부는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가 200억원의 기금출연을 요청했으나 내년도 예산안에 100억원의 출연금과 5억원의 운영비 등 총 105억원을 배정했다.

徐明秀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