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여전히 부패한 예,체능계 入試

이번에 불거진 99학년도 연세대 음대 입시 부정사건은 그동안 계속된 당국의 집중 단속에도 불구 예·체능계대학의 입시 풍토가 여전히 부패한채 달라지지 않고 있음을 드러내주는 단적인 증좌라 할만하다. 해마다 예·체능계대학의 부정입시가 계속되자 교육부는 99학년도 입시부터 예능계 대입 실기시험에서 평가위원의 과반수를 타대학 교수로 구성하라는 지침을 지시한바 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이번에 드러난것처럼 입시 평가위에 나온 타 대학교수들이 돈을 받고 '품앗이'평가를 해줌으로써 완전히 실패로 끝나버린 것으로 판명됐다.

검찰조사 결과를 보면 구속된 강화자교수가 평가위원으로 초빙된 외래교수 12명중 6명에게 돈을 주고 '자신이 추천한'입시생에 후한 점수를 줄것을 종용한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검찰은 또 이러한 나눠먹기식 품앗이 평가가 다른 학교에서도 있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라니 이쯤되면 교육부의 예체능계 입시 부정방지대책은 공염불이된 느낌이다.

실상 교육부는 예체능대 입시 부정을 막기위해 실기(實技)시험 배점을 줄여보기도 하고 실기시험을 여러 대학이 공동으로 치르도록 하기도 했다. 그러고도 부정이 사라지지 않자 칸막이를 쳐놓고 채점 교수와 수험생을 차단한 상태에서, 시험을 치르기도 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고 마지막 방안으로 등장한것이 '과반수 이상을 타대학 교수로 실기시험 평가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또한 '품앗이…'로 이 모양이 되고 보니 예능계 입시 부정이 언제 뿌리 뽑힐지 안타깝다. 교육부로서도 수많은 예능계 대학을 일일이 감독 하기가 쉽지 않을것이고 또 감독을 한다해도 입시부정을 모두 적발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교육부의 대학에 대한 감독강화는 대학 자율화 추진에 역행된다는 측면 또한 없지 않다.

입시관리를 내세워 지나치게 대학 행정에 간섭하는것도 바람직 하지 않기때문이다. 따라서 예체능계 대학입시 부정을 막을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입시 관리를 엄격히 하고 부정이 저질러지지 않도록 자체 단속을 철저히 하는것이라 할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여러가지 제약 때문에 어려운것이 현실인만큼 차라리 외국처럼 우리도 예체능계를 기존 대학에서 분리, 독립시켜 전문 교육기관으로 성장시키면 어떨까.

그렇게 하면 최소한도 별다른 재능도 없으면서 명문대학의 '간판'을 노리는 거품입시생을 걷어내는 효과는 있을것 같아 해보는 소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