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아그룹의 전방위 로비가 검찰의 수사대상으로 새로 부상하고 있다. 최순영회장의 외화 밀반출혐의를 검찰이 포착, 수사에 착수하면서 신동아그룹이 현정권과의 지연.학연 등으로 밀착된 막후 실력자인 재미교포 박시언씨를 그룹부회장으로 전격 영입한데서 이번 로비의 연원을 찾을수 있다. 사실 박시언씨는 이번 옷로비 사건의 외양에 대한 검찰수사가 진행되는 시점부터 수사검찰 주변에서 서성거렸고 국회 청문회때도 야당의원 등에 의해 잠시 이름이 거론된 인물이었으나 다시 수면아래로 잠복된 인물이었다. 그러나 박씨가 신동아의 로비스트로 급부상한건 사직동팀의 '최종보고서'를 당시 김태정검찰총장방에서 직접 건네 받았다며 그 문서유출과정을 스스로 폭로하면서 부터였다.
박씨의 현재 직함은 신동아의 고문자격으로 신동아측에선 그를 축출하지 않고 어느정도 '대우'하고 있는것은 그동안 그의 활동에 대한 보답이자 아직까지 그의 영향력을 십분 활용하겠다는 신동아의 계산이라는게 지배적 분석이다.
물론 김대중대통령은 신동아가 거대한 자금력과 인맥을 동원해 심지어 교계인사들을 앞세워 대통령인 자신과 부인에게까지 로비를 시도했으나 이에 불응하는 바람에 끝내 실패했다고 밝힌바 있다. 말하자면 결과적으로 신동아회장은 구속됐기 때문에 '실패한 로비'로 김대통령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사건의 실체는 근원적으로 신동아의 이같은 로비과정에서 불거진 것으로 보기때문에 과연 그 과정에 어떠했는지를 밝히는게 필연적인 과제라 생각한다.
물론 실패한 로비라 하지만 야당에선 수백억원대의 로비 자금살포설을 제기하며 이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특히 당시 김태정검찰총장의 집무실을 무시로 드나들면서 결국 극비문서까지 입수한게 사실로 드러났다.또 청와대까지 들어가 김중권 전 비서실장 박주선 전 법무비서관을 만나고 대통령 면담을 요구 했다면 그의 영향력은 실로 막강했다고 할 수 있다.
거기다 현여권의 실세들을 두루 만났다는 사실까지 감안하면 설사 로비를 성사시키진 못했지만은현 정권이 무시할수도 없는 인물이 라는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따라서 그가 벌인 로비행태가 어떠했으며 구체적으로 누구누구를 만나 어떤 청탁을 했는지 여부는 당연한 의문일 수 있다.
더욱이 현정권들어 처음 제기되는 '권력형비리' 의 중심에 그를 세워놓고 있는 관측도 잇다.벌써 박시언리스트가 거론되는 마당이다.검찰의 불신을 씻을 계기가 될지도 모를 '로비실체' 규명에 한점 의혹이 없도록 해주길 거듭 당부한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