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고서'유출 검찰 수사일정

사직동팀 내사보고서 유출사건에 대한 검찰수사가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검찰은 당초 보고서를 공개한 신동아그룹 전부회장 박시언(朴時彦)씨를 먼저 소환, 조사하고 보고서 유출의 당사자인 박주선(朴柱宣) 전 청와대 법무비서관과 김태정(金泰政) 전 검찰총장도 잇따라 소환, '몰아치기'식으로 수사를 강행할 듯이 보였다.

지난 주말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 수사착수를 전격 결정하면서부터 소환을 통보하기까지 매우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씨가 29일 예정대로 출두한 반면 박 전비서관은 이날 오후 검찰이 아닌 특검팀에 자진 출두함으로써 수사일정에 다소간의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와관련, "수사일정이 중복될 경우 법적으로 수사기한이 제약된 특검팀을 먼저 배려하겠다"고 말해 특검팀 조사에 우선권을 주겠다는 의사를 비쳤다.

박 전비서관은 특히 이날 출두에 앞서 "특검팀에 나가 사직동팀 최초보고서 추정 문건에 대한 진상규명에도 협조하겠다"고 입장을 밝혀 의혹에 둘러싸인 '최초보고서'의 출처가 드러날지 주목되고 있다.

이런 상황이라 검찰은 현재로선 '최초보고서'에 대한 조사여부를 결정짓지 못하고 있다.

대검 고위관계자는 "그쪽(특검팀) 에서 조사여부를 결정해야 우리가 수사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해 특검팀의 입장이 정리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검찰로선 내심 특검팀에서 이부분에 대한 조사를 해 검찰수사팀의 부담을 덜어줬으면 하는 속내도 있는 듯하다.

검찰은 가능한 신속히 진상을 규명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특검 수사와 관계없이 초스피드로 수사를 진행하다 또다시 일을 그르치게 될까 우려하고 있는 모습도 엿보이고 있다.

만약 검찰이 수사를 빠른 속도로 진행시켜 결론에 다다른 상황에서 특검이나 관련 당사자들 주변에서 또다른 의혹이나 증언이 나와 버린다면 국민들에게 '검찰은 더 이상 안된다'는 불신감만 증폭시켜 헤어날수 없는 나락으로 빠져 들고 말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찰은 특검수사 일정과 어느 정도는 보조를 맞춰 수사를 진행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수사는 덤벙대며 할 성질이 아니다"라고 말해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했다.

또 한편으로 라스포사 사장 정일순(鄭日順)씨에 대한 영장을 세번이나 기각당한 특검팀이 정씨의 혐의와 기록을 검찰에 이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검찰은 적이 긴장하는 분위기다.

검찰은 옷로비 사건 자체는 명백히 특검의 수사대상이라고 못박고 있지만 이번 사건은 옷로비-위증-보고서 유출에다 신동아 로비의혹까지 더해 수사대상이 실타래처럼 얽혀있어 검찰과 특검 사이에 명확한 수사영역 분장부터 이뤄져야 할 상황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