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조선 전기 기득권세력이라 할 훈구파에 반발해 등장한 사림파가 펼치는 일련의 개혁 드라이브와 그 좌절 과정은 현대 정치사를 해석하는 데도 의미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은 조선시대 정치사의 한 자락을 통해 현실 정치를 되짚어 보기 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용의 눈물', '왕과 비' 등 유례없는 관심 속에 방영되고 있는 사극의 내용 가운데서 문학적, 극적 허구를 걷어낸 역사적 사실만을 촘촘히 엮어낸 것이 바로 이 책의 내용이다.
사림파의 등장과 훈구파와의 갈등, 낡은 종교와 이데올로기를 새로운 국가에 걸맞은 것으로 교체하려는 시도, 변혁의 시대적 상황을 살다 간 진보적 지식인(사림파)들의 삶의 궤적을 담은 3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이병휴 지음, 일조각 펴냄, 493쪽.2만5천원)
■'대륙의 딸들'
격동기 중국을 배경으로 한 역사서들은 독자들에게 흔히 소설 이상의 긴장감과 역동성을 느끼게 한다. 지난 91년 발표돼 93년 영국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바 있는 '대륙의 딸들'도 그런 부류의 대표적 기록문학작품이다. 혼란의 군벌기로부터 일제 지배, 소련 점령, 국민당 통치를 거쳐 참혹한 내전을 통해 공산당 정권이 들어서기까지의 중국 근세사가 한 손에 잡힐 듯 뚜렷하다.
군벌장군의 막내첩이었던 외할머니, 원칙에 충실한 골수 공산당원이었으나 문화혁명 중 유형지로 추방당하는 어머니, 고위 관료의 딸로 홍위병이 되었으나 그 광기에 실망하고 농촌으로 쫓겨난 주인공 등 여인 3대의 인생역정이 파란만장하게 그려져 있다.
(장융 지음, 박국용 옮김, 전2권 각권 328면, 각권 7천500원)
■'한국인에게는 역사가 없다'
'...는 없다'라는 제목으로 들불처럼 유행하고 있는 해체적 자기반성 시리즈가 드디어 한국의 역사를 타깃으로 삼고 나섰다. 저자 김종윤씨가 감히 '없다'고 주장하는 한반도 역사는 기본적으로 그가 '고대조선사와 근조강역연구'에서 밝힌 바 있는 '대륙 조선'의 역사관과 궤를 같이 한다. 우리 민족의 역사적 무대는 한반도가 아니라 대륙 중원이었고 그러한 조선이 한반도로 편입.이식되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한반도의 역사는 사라지고 외세에 의해 왜곡된 역사만 남게 됐다는 것이다. '중국어는 조선어의 방언', '상해는 조선의 대문이었다', '대동여지도가 허구인 까닭', 등 도발적인 소제목들로 구성된 이책은 색다른 역사인식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김종윤 지음, 그린하우스 펴냄, 302쪽, 8천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