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규정한 교토 의정서 이행 방안 논의를 위한 '기후변화 당사국 회의'가 17일 이틀째 일정을 마쳤으나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들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는 등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과 EU가 교토 의정서 발효 여부를 놓고 찬·반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캐나다, 호주 등이 타협안을 내놓고 있으나 합의 도출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지난 16일 서방선진 7개국+러시아(G-8) 정상회담 참석차 이탈리아로 떠나기에 앞서 "우리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는 동의하지만 교토협약에 규정된 방법론은 수용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해 기존의 교토 협약 탈퇴 입장에서 물러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15개 EU 회원국 지도자들은 이날 교토 협약을 내년 부터 발효시키겠다는 종전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과 캐나다, 호주 등 일부 국가들이 일종의 타협안을 제시하고 나서 주목된다.
일본은 특히 미국이 지난 4월 교토 의정서 탈퇴를 선언한 이후 미국 편에 섬으로써 이번 회의에서 지렛대 역할을 하고 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17일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와 회담에서 위기에 처한 교토 의정서를 내년부터 발효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