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영역=날마다 새로운 지문이 나오는 실전 문제를 풀어보면서 언어 감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는 지문을 빨리 읽고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며 풀이 연습을 한다. 지난해보다는 어렵겠지만 전체적으로 평이한 수준의 문제들이 출제되기 때문에 정리를 위해서 교과서를 다시 한번 통독하는 것이 좋다. 듣기는 듣기대본을 들으며 머리 속으로 화자의 대화 과정과 논리적인 흐름을 요약하는 훈련을 한다.
'교과서 밖에서도 출제하겠지만 새로운 유형의 문제는 가급적 피하겠다'는 게 교육과정평가원의 입장이므로 너무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 지금으로서는 그동안 공부했던 교과서의 핵심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마무리 학습 전략이 될 수 있다.
▶수리탐구Ⅰ 영역=빨리 푸는 게 능사가 아니라 주어진 시간 안에 정확히 푸는 것이 중요하다. 고사장에는 연습장을 가지고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문제지 여백에 풀이하는 연습을 해둬야 한다. 성적대별로 점수차가 가장 큰 영역이기 때문에 중·하위권의 경우라도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과 원리, 주요 공식, 예제 등을 정리하고 끝까지 포기해서는 안 된다.
수리탐구Ⅰ영역은 짧은 시간에 성적을 올릴 수 없다고 생각해 막판에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수능시험은 그렇지 않다. 기본 개념만 알아도 반 이상은 풀 수 있기 때문에 수학에 자신이 없다 해도 단원별로 중요한 개념과 원리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사회탐구 영역=교과서에 나오는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단순 암기식보다는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되므로 교과서의 큰 흐름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사진이나 도표, 그림, 통계 등 다양한 자료에 대한 해석 연습이 필요하며, 교과서 원리와 시사적인 문제들을 상호 관련지어 생각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탐구 영역=가장 중시되는 것은 교과 기초 지식과 기본 개념, 원리에 대한 이해이다. 따라서 반드시 교과서의 기본 개념과 용어를 정리해 보고, 특히 그림이나 그래프, 도표 등의 자료에 대한 분석 능력을 체크해 본다. 실험과 결론 유도과정도 정리해 둬야 한다. 공통과학에서는 과학적 개념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에 대한 준비도 해야 한다.
▶외국어 영역=언어 영역과 마찬가지로 매일 다양한 유형의 새로운 지문을 읽으면서 언어 감각을 유지하는 게 관건이다. 어휘력이 약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지금까지 본 참고서나 문제집에 나온 단어들을 가볍게 다시 훑어보면 도움이 된다. 듣기평가는 그림을 통해 특정 인물이나 장소 찾기, 숫자, 시간 계산, 전화통화 관련 문제 등에 유의하며 대비한다. 지금까지 공부한 테이프를 반복 청취하며 패턴을 익히고 감각을 유지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