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철 대구공법 3월 결정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으로 추진중인 대전.대구 도심통과구간 공사방법이 오는 3월 조기 결정될 전망이다.

4일 건설교통부와 교통개발연구원에 따르면 건교부는 그동안 논의돼온 대구도심우회통과 방안과 고가교량 건설방안 등은 자치단체의 반대와 도심 장애물 등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라 배제하고 지상화와 지하화 2개 방안으로 압축해 최근 인수위에 보고했다.

건교부는 당초 지상.지하화 방안 이외에 대구의 경우 동대구역을 거치지 않고 외곽으로 우회하는 방안과 고가교량을 설치해 중심가를 통과하는 방안 등도 함께 검토했으나 최근 교통개발연구원 용역결과 타당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같은 방안을 배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건교부는 오는 3월초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석하는 공청회를 열어 여론을 수렴한 뒤 3월말께 입장을 조기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공사방법을 둘러싼 지자체 및 지역 시민단체 등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업을 적기에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건교부는 설명했다.

건교부가 정리한 대전.대구 도심구간 통과방법은 크게 지상화와 지하화 2가지.

대구의 경우 일부 핵심구간에 '반지하화'로 불리는 지하 15m 정도의 깊이에 개착식 콘크리트 박스구간을 설치하고 나머지 구간은 지상화하는 방안과 전체를 지하40m 깊이의 터널식으로 공사하는 기존 지하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지상화를 전제로 할 경우 개착식 구간의 길이를 놓고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대구 신천을 지나는 5.8㎞를 원하고 있으나 건교부는 신천통과구간의 공사상의 어려움과 경사도 문제 등을 이유로 3.2㎞ 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하는 등 입장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공청회 결과를 경부고속철도건설 기본계획에 반영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건설비용, 운행시간, 환경영향, 지역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안을 선택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