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보안 관련 자격증이 취업 보증수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달 25일 인터넷 대란을 겪으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됐지만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에서 100개 정보보호 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천672명의 정보 보안 관련 기술 인력이 활동하고 있으나 올해 안으로 3천363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됐다.
이 협회는 2004년 3천749명, 2005년 4천114명, 2006년 4천455명, 2007년 4천779명의 인력 수요가 더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온라인 채용사이트 '인크루트'(www.incruit.com)는 자체 데이터베이스 조사 결과, CISSP, CISA,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호 전문가, 정보시스템 감리사 등 정보 보안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108명 모두 취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중 CISA 취득자는 83명, CISSP는 17명으로 국제 자격증 취득자가 100명으로 전체의 92.6%에 달할만큼 인기 높았다.
인크루트가 소개한 자격증은 다음과 같다.
◇CISSP=국제적 비영리 단체인 ISC2(International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Certification Consortium)에서 인증하는 국제공인 정보시스템 보안전문가 자격증. 미국을 중심으로 1천500여명의 CISSP가 정보보호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국내에는 2000년 말 도입돼 현재 200~300명이 자격증을 갖고 있다.
정보보호 분야에서 3년 이상 경력을 쌓아야 응시할 수 있고, 올해 시험은 다음달 29일 동국대에서 치러진다.
◇CISA=미국에 본부를 둔 정보시스템 감사 및 통제협회(ISACA)에서 1978년부터 부여하는 정보시스템 지배.통제.보안.감사 분야 국제 공인 전문 자격증. 미국과 유럽에서는 CPA(공인회계사)에 버금가는 위상을 지녔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천700여명이 이 자격증을 취득, 감사원.금융감독원 등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 회계법인, IT(정보기술) 전문업체, 컨설팅 전문업체, 산업계, 금융계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정보시스템 감사.통제.보호 분야에서 최소 5년 이상 경력을 쌓아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02)786-2179(한국 정보시스템 감사통제 협회).
◇정보보호 전문가=한국정보보호진흥원과 정보통신교육원이 2001년 실시하기 시작한 보안 관련 자격시험. 정보시스템 및 네트워크 도입.구축.유지.보수.관리를 담당하며 사업의 연속성 유지를 위한 보안정책 수립이 주된 업무. 고위험 요소 분석을 통해 보안 대책을 선택.검증하고 관리하는 업무도 수행한다.
◇정보시스템 감리사=2001년부터 한국전산원에서 시험을 거쳐 발급하는 국가 공인 민간자격증. 정보시스템 구축.운영을 종합적으로 점검.평가하는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다.
기술사.기사 등 전문자격이나 정보처리 분야에서 오랜 실무 경력을 보유한 사람이 우선 소프트웨어공학,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보안 등에 관한 1차 필기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그 후에는 2주간의 감리이론 교육과 개인별 1주간 감리실무 교육을 받은 뒤 정보시스템 감리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정보시스템감리사 평가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공인 감리사 자격이 부여된다.
◇인터넷 보안 전문가=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에서 관리하는 자격증으로, 서버를 보호하고 보안 설정, 보안 분석, 해킹 방지, 서버 복구 등 서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인터넷 보안 관련 기술력을 인증한다.
1급과 2급이 있으며 특별한 자격 제한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