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경제 '非常체제' 서두를 때

지금 국내외적으로 볼 때 비상 시국이라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 경제는 안이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위기 극복 뒤에 잠시 찾아오는 '달콤한 휴식'에 너무 오랫동안 빠져있는 느낌이다.

게다가 정권 교체기에 노출되는 '진공 상태'까지 감안하면 그야말로 우려되는 상황이 아닌가. 새 정부는 국민을 다잡을 수 있는 비상 플랜을 서둘러 마련하여 지금 '잔치판'이 아니라는 인식부터 심어주어야할 것이다.

7일 주식시장은 580선이 무너져 1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미-이라크 전쟁이 기정 사실화되면서 고(高)유가는 무역수지 적자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우리 경제를 몰아넣고 있다.

에너지 위기는 발등의 불이 됐는데도 위기관리 대책은 눈에 띄지않는다.

기업 체감경기는 급전직하, 1월 경기실사지수(BSI)가 80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당시 수준으로 시계를 거꾸로 돌려놓은 셈이다.

특히 세계의 이목이 북한의 핵문제에 집중돼있는데도 정작 당사자인 우리만 여유 만만하다.

기름을 사기위해 줄을 서야할 마당에 우리는 로또 복권 신기루를 찾으려는 사람들이 장사진을 치고 있다.

행정수도로 거론된 지역은 땅투기가 일어 거래를 제한해야할 형편이다.

올해 임금 협상에서 사용자측은 4.3%인상을 제시, 앞으로 지긋지긋한 '춘투'가 시작될 전망이다.

그런데도 새 정부는 아직까지 경제팀을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재계는 불협화음 때문에 경제정책에 대해서는 아예 입을 다물고 있다.

이런 상황이니 국민은 비상 사태라는 위기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97년 외환위기 극복의 주인(主因)은 우리경제의 펀더멘털이 비교적 단단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개혁 피로감에 젖어 '도덕적 해이'가 점점 고조되면서 이제 그 경제 기초마저 흔들리고 있다.

국가와 지방 정부는 빚더미에 앉아있고 가계 파산은 이미 우려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자생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두말할 나위없이 위기 상황에는 허리띠부터 졸라매야 한다.

새 정부는 여기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