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0개 법대학장들의 차기정부 사법개혁 토론회에서 "검찰개혁은 현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을 즉각 교체하는 것에서 그 단초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한 서울대 한인섭 교수의 발언은 상징적 의미에서도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은 현 법무장관이나 검찰총장이 '대북(對北)송금 의혹'사건에 대한 검찰수사를 유보한 것은 정치권의 눈치를 지나치게 살핀 결과"라고 지적한 것은 검찰총장에 대한 인사청문회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한 것으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결국 이 주장은 차기 노무현 정부의 검찰개혁의 요체로 삼으라는 주문으로 요약할수 있다.
이는 현 김대중 정권이 말로는 "검찰이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면서 검찰의 정치적 중립을 강조해 왔으나 실상은 특정인맥을 중심으로 '정치권의 시녀' 노릇을 강요해 왔고 검찰도 그에 부응해 온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 교수는 "지난 5년동안 단 하나의 검찰개혁이 이뤄진 것이 없기 때문에 결국 몰락했다"는 점을 노무현 정부는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으라는 요구는 검찰의 개혁 없이는 정권 차원의 어떤 다른 개혁도 이뤄질 수 없다는 단호한 주문이자 그게 현실임을 직시해야 한다.
이는 지난 5년간을 회고해 볼때 개혁의 주체인 권력핵심층의 부패행각을 검찰이 징치하지 못하고 결국 국민들의 여론에 의해 특검에 넘겨져 그 진상이 밝혀지면서 모든 개혁은 중도에서 한발짝도 더 나아가지 못한 경험에서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검찰이 감당할 수 없는 의혹사건은 국회의 동의를 거쳐 특별검사가 밝혀내도록하는 특별검사제도를 법률적 제도로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는 한 교수의 주장도 같은 맥락에서 너무나 당연한 지적이라 할 수있다.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특검제나 검찰총장 인사청문회 등은 노무현 당선자도 공약으로 내세운 것인만큼 차기정부는 그 실천방안을 마련, 성공적인 검찰개혁을 반드시 이뤄내주길 당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