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당선자가 7일 행자부 장관과 기획예산처 장관의 인선기준을 '분권과 지방화 마인드', '지방과 중앙역할 정립'을 꼽음에 따라 분권의지를 지닌 발탁인사가 누구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하마평에 오른 인사는 모두 합쳐 10명 정도.
◆행자부 장관=정치인 중에는 김대중 정부 초대 교육부장관을 역임한 민주당 이해찬 의원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고 정동영 의원도 오르내린다.
두 사람의 이름이 회자되는 것은 당내 개혁에 앞장서 왔다는 점에서 당선자의 분권의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물이란 이유에서다.
또 분권주의자로 알려진 김병준 인수위 정무분과 간사가 유력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김 간사는 지방행정과 분권 분야의 정통 학자라기보다 시민운동 차원의 운동가가 어울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현실참여 활동을 펴왔다.
또 92년 총선에서 낙마한 노 당선자가 지난 93년 지방자치실무연구소를 만들 때 연사로 초청받았다가 연구소이사장을 맡아 직책을 계속 유지해 올 정도로 당선자와의 인연도 깊다.
또 '통추' 출신인 김정길 전 행자부장관, 원혜영 부천시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김 전 장관은 당선자와 마찬가지로 90년 3당 합당을 거부했으며 이후 통추 등에서 같은 길을 걸어온 동지이자 선배로 행자부 장관을 역임한 이점도 있다.
원 시장은 14대 국회의원이던 지난 93년 노 당선자가 지방자치실무연구소를 설립하자 세비의 일정액을 연구소 지원비로 냈을 정도로 분권문제에 관한 10년 전부터 당선자와 공감대를 형성해 오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 출신으로는 이재용 전 대구 남구청장, 김두관 전 남해군수 등의 입각 가능성을 점치는 이들도 있다.
이 전 청장의 경우 당선자가 후보시절인 지난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일색의 지역정서를 무릅쓰고 노 후보의 지지를 선언, 반향을 낳았었다.
김 전 군수는 지난해 6·13 지방선거 때 노 당선자가 삼고초려 끝에 민주당의 경남지사 후보로 영입했던 인물로, 두 사람 모두 자치단체장의 경험을 살려 지방분권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름이 거론된다.
이밖에 김범일 산림청장과 김흥래 지방행정연구원장, 조영택 현 차관이 유력 후보군에 속한다.
◆예산처 장관=지방과 중앙의 역할정립 등을 재정차원에서 소화할 기량을 갖춘 사람이 우선순위에 꼽힌다.
특히 예산처의 핵심역할이 공공부문의 개혁이란 점과 대체로 지방과 예산의 문제를 다룬 유경험자가 적격이란 점에서 전·현직 예산처 장차관의 이름이 거명된다.
장승우 현 기획예산처 장관을 비롯 박봉흠 현 차관, 차관을 지낸 최종찬 청와대 정책기획 수석 등이 오르내린다.
장 장관과 박 차관, 최 수석은 모두 경제기획원과 재정경제원, 통계청, 예산청, 금융통화위 등 경제부처에서 잔뼈가 굵은 경제관료로 지방재정 분야에 정통하다는 관측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