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다. 김 대통령은 지난달 30일과 지난 5일 두차례에 걸쳐 사법처리 불가와 진상공개 반대라는 해법을 제시했지만 여론의 반발만 샀을 뿐이다.
현재 이 문제에 대한 청와대와 노 당선자측의 입장은 평행선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 이례적으로 불참한 사실도 이같은 최근의 상황과 관련시켜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즉 대북 비밀송금 파문의 처리 방법을 찾을 수 없는 답답한 심경이 불면의 밤으로 이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해석이다. 『김 대통령이 요즘 부쩍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같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도 이같은 추측을 뒷바침한다.
현재 노 당선자측과 청와대는 이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물밑접촉을 계속하고 있으나 의견의 접점은 좀처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대북 송금행위가 통치권 차원의 거래이며 따라서 공개나 사법처리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김 대통령의 단호한 입장 때문이다.
이러한 대치상태가 계속되면 노 당선자가 희망하고 있는 25일 이전 해결은 바라기 어렵고 결국 새 정부 출범이후로 처리시한이 넘어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김 대통령이나 노 당선자 모두 너무 부담스러운 것이라는 점에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것이라는 희망섞인 관측도 없지 않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주변에서는 「너무 시간을 끌면 김 대통령이 사실을 은폐하려 한다」는 의혹을 뒤집어쓸 가능성이 있는 만큼 노 당선자측의 주장을 상당부분 수용, 국회에서 증언을 하되 국가안보나 외교상 이익을 크게 해치지 않는 사안에 대해서는 공개증언도 한다는 방침을 정했다는 설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