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가고 있다. 김 대통령은 지난달 30일과 지난 5일 두차례에 걸쳐 사법처리 불가와 진상공개 반대라는 해법을 제시했지만 여론의 반발만 샀을 뿐이다.
현재 이 문제에 대한 청와대와 노 당선자측의 입장은 평행선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 이례적으로 불참한 사실도 이같은 최근의 상황과 관련시켜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다. 즉 대북 비밀송금 파문의 처리 방법을 찾을 수 없는 답답한 심경이 불면의 밤으로 이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해석이다. 『김 대통령이 요즘 부쩍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같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도 이같은 추측을 뒷바침한다.
현재 노 당선자측과 청와대는 이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물밑접촉을 계속하고 있으나 의견의 접점은 좀처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대북 송금행위가 통치권 차원의 거래이며 따라서 공개나 사법처리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김 대통령의 단호한 입장 때문이다.
이러한 대치상태가 계속되면 노 당선자가 희망하고 있는 25일 이전 해결은 바라기 어렵고 결국 새 정부 출범이후로 처리시한이 넘어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김 대통령이나 노 당선자 모두 너무 부담스러운 것이라는 점에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것이라는 희망섞인 관측도 없지 않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주변에서는 「너무 시간을 끌면 김 대통령이 사실을 은폐하려 한다」는 의혹을 뒤집어쓸 가능성이 있는 만큼 노 당선자측의 주장을 상당부분 수용, 국회에서 증언을 하되 국가안보나 외교상 이익을 크게 해치지 않는 사안에 대해서는 공개증언도 한다는 방침을 정했다는 설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