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과학기술연구원(가칭) 설립을 모태로 한 대구 테크노폴리스의 밑그림이 그려졌으나 제대로 추진되기에는 풀어야 할 과제가 한두가지가 아니다. 특별법(대구과학기술연구원법) 제정에서 용역작업, 부지선정, 사업비 조달, 신 정부와의 협의 채널구축까지 어느 하나 가시화된 게 없다. 또 한나라당 대구의원들의 의욕만으로 해결될 수도 없다.
□용역작업 서둘러야=대구시는 올해안에 3억원의 예산을 투입, 용역작업을 거쳐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용역비를 대폭 늘이더라도 세계 유수의 컨설팅 업체에다 용역을 의뢰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박종근.김만제 의원은 "30억원을 들여서라도 제대로 된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며 "조속한 사업착수를 위해 학계, 경제계, 언론계, 시민단체, 대구시, 정치권 등을 포함하는 범시민 차원의 대구테크노폴리스 추진위원회 구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구의원들이 사업비 규모를 당초 5조2천억원에서 10조원으로 늘이고 완공시기(2004~2014년)도 6년 앞당긴다는 계획까지 세워 이래저래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부산의 경우 11조원이 투자되는 '센텀시티(Centum City)' 건설사업을 지난 2000년 12월에 이미 착공한 상태다.
□코디네이션이 필요하다=대구시와 정치권의 힘만으로 10조원 규모의 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은 없다. 관련 부처인 과기부.산자부.교육부 등에 도움을 청하는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또 경북도와의 협력체제는 물론 신 정부와 대화채널 구축도 선행돼야 할 과제다. 그래서 '테크노폴리스 추진위' 구성이 시급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다행히 테크노폴리스 건설은 한나라당과 민주당(테크노 벨트) 모두 대선공약으로 제시된 사항이라는 점에서 대구의원들도 기대를 거는 눈치다. 그러나 시와 정치권이 청와대와 정부부처를 향해 전방위로 나서지 않을 경우 선거용 공약(空約)으로 전락될 우려도 만만찮다.
□DIST 법 제정에 사활 걸어야=대구과학기술연구원법안(가칭)이 성안중인 만큼 이달중 임시국회에 제출, 늦어도 가을 정기국회에서 3천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받겠다는 것이 대구의원들의 생각이다. 다행이 시지부장인 강재섭 의원이 국회 과학정보통신위원회 소속라는 점도 이점이다. 그러나 '돈'이 걸린 대형 국책사업에 행정부처가 선뜻 손을 들어줄 가능성은 크지않아 보인다. 재원 문제나 법적 타당성, 관련 부처와의 협의 등 첩첩산중이다. 지난 95년 당시 민자당 소속이던 윤영탁 의원이 지역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회의원 60명의 서명을 받아 국회에 제출했던 '섬유산업 구조조정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예산확보 미비로 사장됐던 전례도 있다. 윤 의원은 "당시 임시조치법 취지에 상당수 의원들이 공감했지만 예산확보가 어려워 나중엔 정부와 당까지 나서 만류했었다"면서 "법 제정 추진과정에 신 정부와의 협의가 우선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선 순위 정해야=대구 테크노폴리스는 대구과기연을 포함한 첨단과학기술연구단지(E-valley) 조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첨단 레저·리조트단지(E-world) 건설, 첨단 친환경신도시(E-village) 건설 및 물류·비즈니스단지 조성, 낙동강 프로젝트 등이 서로 연계돼 있기 때문이다. 테크노폴리스의 3대 핵심사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우선 순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여의도연구소 곽창규 박사는 "첨단 레저.리조트 단지와 첨단생태신도시 건설사업은 기본계획 수립이 완료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대구 테크노폴리스는 중.장기적으로 낙동강 프로젝트와 동시에 추진, 시너지 효과를 제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