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에서는 차량들이 넘쳐나지만 차를 댈 곳은 적다.
작년말 현재 대구의 주차장 확보율은 64.3%로 10대 가운데 4대꼴로 주차할 곳이 마땅치 않은 셈. 도로변에 그어진 네모꼴 흰선, '공영노상주차장'은 차 댈 곳 찾는 운전자들에게 피난처와 같은 곳이다.
공영노상주차장에 대해 알아본다.
◇어떻게 관리되나=작년말 현재 대구의 노상주차장은 4천63개소 9만4천463면(面)이다.
이 가운데 주차료를 받는 공영주차장은 2월10일 현재 269개소 5천698면으로 현 대구시 시설관리공단이 대구시로부터 위탁받아 관리하고 있다.
공영노상주차장은 97년까지만 해도 대한상이군경회 대구시지부가 관리했으나, 시설관리공단이 상이군경회에 올해까지 총 28억원(25억원은 이미 지원)을 복지회관 건립비로 지원하는 조건으로 업무를 받아 98년 1월부터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공영노상주차장 주차관리원들은 모두 시설관리공단 직원들이다.
◇공영주차장인데 주차료가 사설보다 비싸다=대개 공영노상주차장은 사설유료주차장보다 주차료가 비싸다.
대구 도심내 1급지 공영노상주차장에 한 시간 정도 차를 댈 경우 2천500원의 주차료를 내야 하지만 사설유료주차장은 이보다 적은 2천원을 받는 곳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시설관리공단에 들어오는 항의 중 대다수는 "공영이라면서 왜 사설주차장보다 요금이 비싸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설관리공단 김상진 주차사업부장은 "주차난 해소를 위해 사설유료주차장 증가를 유도하고 있다.
결국 사설유료주차장 확충을 위한 '당근' 차원에서 공영노상주차장 주차료를 더 높게 책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장은 또 "교통량이 많은 곳 중심으로 노상주차장을 줄여 나간다는 것이 시의 방침"이라고 했다.
◇주차료 수입은 어떻게 쓰이나=2001년 한 해 동안 대구시 시설관리공단이 공영주차장 사업으로 벌어들인 총 수입금은 113억3천여만원이다.
이 중 부가세 10%, 주차관리원 인건비 45~50%, 시·군·구에 내는 점용료 25~30%, 기타 운영비 6~7%를 빼고 남는 수익금은 연 10억~15억원 규모다.
이 수익금은 시설관리공단 관리직원들의 인건비와 경상비 등으로 쓰인다고 시설관리공단 측은 밝혔다.
◇고객 만족도가 낮다=공영주차장 사업은 사업비 규모로 전체 업무의 87%를 차지할 정도로 시설관리공단 업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공영노상주차장에 대한 대구시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낮다.
대구시 시설관리공단이 외부기관에 의뢰해 조사한 작년 상반기 고객만족도는 66.39점으로, 전체 평균점수 73.70보다 낮은 것은 물론이고 8개 사업분야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열악한 주차관리원 근무 환경=대구시 시설관리공단의 주차관리원은 222명으로 정규직이 22명에 불과한 반면 비정규·보조직이 200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월 평균 100만원 안팎의 임금을 받는데 임금 수준에 비해 업무가 고된 탓에 이직률이 높다.
98년초 대한 상이군경회로부터 업무가 이관될 때 주차관리원 고용도 승계됐지만 이들중 지금까지 남은 사람들은 3분의1 정도에 불과하다.
범어동 대구지법 앞 노상주차장을 관리하는 손모(50)씨는 "오전 8시30분부터 하루 8시간 이상을 쉴 틈 없이 일해 월 80만원 정도를 받는다"면서 "주차료 시비가 붙거나 주차 차량간 접촉사고라도 나는 날에는 파김치가 된다"고 말했다.
손씨는 "주차요금을 내지 않으려고 줄행랑을 치는 운전자들을 보면 화가 나기보다 허탈해진다.
많은 운전자들이 주차예절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차비 안내고 가는 얌체 운전자들=시설관리공단은 주차료를 내지 않고 가는 운전자에 대해서는 차번호를 조회해 미납고지서를 발송하고 있다.
그러나 "주차료를 내려는데 주차관리원이 없었다"며 항의하는 이들이 적잖다고 한다.
이에 대해 시설관리공단 주차사업부 김홍태 담당자는 "주차표에 주차관리원의 휴대전화번호가 기재돼 있는 만큼 주차관리원이 보이지 않는다고 그냥 가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주차료는 주차관리원 근무시간인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7시30분까지만 적용되고 이후는 무료 개방된다.
휴일의 경우도 원칙적으로 주차료를 받지 않지만 재래시장, 도심, 극장 주변 등 주차질서 유지가 필요한 곳에 한해 요금을 받고 있다.
◇속칭 '삥땅'은 없나=시설관리공단은 주차관리원들의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근무지를 6개월에 한번씩 교체하고 비노출 감사반을 운영하고 있다.
김상진 주차사업부장은 "주차관리원들의 '삥땅'이 완전히 근절됐다고는 할 수 없지만 영수증제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부정 발생 소지는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영수증제 정착을 위해 시설관리공단은 현재 주차료 영수증 5매나 1만원짜리를 모으면 30분간 무료주차 혜택을 부여하는 '영수증 보상제'를 실시하고 있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