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업 대가? 회담 대가?

'대북 사업권의 대가인가, 남북정상회담의 대가인가'.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의 16일 기자회견은 북한으로 송금된 5억달러의 성격에 대한 의문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지난 14일 대국민담화에서 김대중 대통령은 "현대는 대북 송금의 대가로 북측으로부터 철도, 통신, 관광, 개성공단 등 7대 사업권을 얻었다"고 말해 대북 송금이 사업권의 대가이며, 정상회담과는 아무 관련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임동원 외교안보통일 특보 역시 "현대의 대북사업이 결과적으로 남북정상회담에 기여하긴 했지만 이는 전적으로 민간차원의 사업이었고 대북 송금도 정상회담 개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며 정상회담 대가설을 강력히 부인했었다.

그러나 정 회장의 16일 발언은 이와는 상당히 다른 뉘앙스를 풍겼다.

정 회장은 "5억달러는 대북사업의 대가로 송금한 것이라면서도 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가진 일문일답에서 "5억달러가 사업권 획득과 정상회담 대가의 패키지 용도로 쓰인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사업권 획득이 목적이었지만 당시 상황으로 봐서 정상회담이 열리는데 도움이 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회장의 이같은 발언은 5억달러가 사업권의 대가이긴 하지만 남북정상회담과 전혀 무관한 것도 아님을 시사한다.

정 회장의 이날 발언을 두고 일각에서는 향후 특검제 실시 등 이 문제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기 위한 작업이 진행될 때 현대의 입지를 보호하기 위한 사전 장치로 보는 분위기도 있다.

그러나 송금 문제에 대한 청와대측의 설득력없는 해명에 이어 송금 시기나 송금 과정에서 국정원이 깊숙이 개입한 점 등으로 보아 실제로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어떤 형태로든 연관되어 있다는 의심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