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쇠난로는 가장 기억에 남는 겨울 교실 풍경의 하나다. 양은 도시락이 노릇노릇 누룽지 냄새를 풍길 때 교실은 성애 낀 교실 밖과 달리 그리 훈훈할 수가 없었다.
겨울 등교길을 떠올리면 추웠던 기억밖에 없다.
칼날 같이 매서운 바람, 꽁꽁 언 땅을 밟으며 종종 걸음 친 등교길. 그때 옷은 왜 그리 허술했던지, 옷 속으로 겨울이 똬리쳤다. 교실문을 들어서도 기온은 밖과 다를 바 없었다. 뺨은 터질 듯 했고, 손은 얼어 필통도 제대로 열 수 없을 정도였다.
혹 열기라도 있을까 옹기종기 모였던 것이 무쇠난로가. 그러나 호호 불면 하얀 입김이 그대로 나왔다.
선생님이 오셔서 불을 피우면 매운 연기가 교실을 가득 채웠고, 그 맛에 잠시 찬 겨울을 잊곤 했다.
무쇠난로란 놈이 얼마나 더딘지, 불을 지펴도 2~3교시가 돼야 겨우 교실이 훈훈해졌다.
간혹 갈탄을 넣기 위해 불구멍을 열었을 때, 그 속의 불꽃이 얼마나 예뻤던지 빨려들 듯 했다.
물을 담은 세숫대야를 올려놓지만, 점심시간이 다가오면 사각 양은 도시락을 차곡차곡 올렸다.
혹 밥을 태울까, 선생님은 '무궁화 무궁화 우리나라 꽃~'을 부르라고 하곤 도시락을 위아래 바꿔주시곤 했다.
점심시간 뜨거워진 도시락을 숟가락으로 털어 열면 하얀김이 얼굴로 가득 피어올랐다.
74년 2월의 교실 풍경이다.
개학날인지 아이들의 얼굴이 말쑥하고 옷도 잘 챙겨 입었다.
사진을 찍는다고 아이들이 바짝 긴장했다.
난로에 불을 지피는 선생님의 손길만 자연스럽다.
희끗 희끗한 머리, 새마을운동 배지에 고풍스런 스타일의 점퍼. 옛 은사의 모습이다.
지금이야 스위치 하나로 스팀이 들어오고, 또 예전만큼 춥지도 않지만, 얼룩덜룩한 연통과 양은 도시락, 갈탄 무쇠난로는 옛 겨울 교실의 정겨운 풍경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