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대구의 미래 생각하여 행정구역 조정하자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구역조정은 지방분권화시대에 대비한 광역자치단체의 구·군간의 균형적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 대구 도약의 최우선 과제이다.

대구의 밝은 미래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행정구역조정이 마치 특정 선거구 유지를 위한 정략적 책동으로 매도되고 있는 것은 지극히 유감스럽고 대구 발전을 가로막는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현재까지 17대 국회의원 선거구제와 관련해 중대선거구제와 소선거구제의 채택에 관해 정가일각에서 문제제기는 있었지만 국회차원의 논의조차 없다.

또한 인구 상·하한선에 대해서도 10만∼30만명이 될지 12만∼36만명이 될지 정치권에서 검토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본인이 행정구역조정과 관련한 용역 과정에 깊이 관여되어 있다는 주장을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것에 대해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본인이 용역 과정에 관여했다면 북구 칠성동, 고성동보다는 10년 이상 연고가 있는 서구 일부 동의 편입을 관철시켰을 것이다.

이제 더 이상 허무맹랑한 주장으로 특정인을 매도하는 행위는 삼가 줄 것을 바라며 활기 넘치는 대구의 미래를 위해 함께 고민하자.

지금 행정구역조정과 관련하여 찬반 주장이 맞서고 있다.

우선 북구 칠성동과 고성동의 중구 복귀는 조속히 이루어지는 것이 대구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북구 칠성동과 고성동은 옛 동상면, 서상면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볼 때도 중구지역이다.

대구 중심지역이었기에 편입이 아니고 복귀하는 것이다.

두 지역은 경부선 철도로 인해 중구와 갈라졌으며 철도로 인해 두 지역 주민들은 엄청난 고통과 재산손실을 감수하고 있고, 대구 전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기도 하다.

지금 국회에서 기존 경부선 철도와 고속철도를 병행 지하화하는 안을 관철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시민들의 중지를 모아 정부에 요구하고 반드시 관철시켜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남북분단이 해소되고 지하차도가 없어지고 약 6km의 부지를 얻게된다.

두 지역은 재개발을 통해 명실상부한 대구의 중심 신도시가 될 것이다.

또한 대구민자역사의 역세권 개발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현재는 중구와 북구가 공동관리하고 있다.

효율적, 집중적 개발을 위해서는 한 자치구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재래시장 집중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서도 서문시장과 칠성시장을 한 자치구가 주도적으로 육성·발전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하겠다.

백승홍(국회의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