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호주제 폐지-반

노무현 대통령의 방일 직전, 한 일본 중의원 의원이 창씨개명(創氏改名)은 한국인이 원해서 했다는 망언을 해 국내언론이 시끄러웠다.

그러나 이제는 일본의 이런 자세에 분노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지금 분위기 같아서는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성(姓)이란 개념이 유명무실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호주제 폐지문제를 두고 논란이 뜨겁다.

호주제 폐지의 골자는 부모의 성 가운데 아무 것이나 합의하여 자식들에게 물려주자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한 세대가 지나기전에 성의 의미는 사실상 없어진다.

일본에서 성이 제대로 생긴 것은 100여 년 남짓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호구조사를 위해 성을 급조해준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일본인들에게 성은 별 의미가 없으며, 그들의 시각에선 창씨개명도 고통이 아니었다.

그런데 우리 민족의 경우는 어떤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을 한 사람에게 '에이, 성을 갈 놈'이라고 한다든지, 확신에 찬 말을 할 때 흔히 '내 말이 틀리면 성을 갈겠다'고 했다.

우리에게 성이란 자신의 행동이 조상에 부끄럽지 않고 후손에게도 부끄럽지 않게 만드는 감시자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 이래 호적 작성을 위해 호구단자(戶口單子)를 만들었는데 각 가정 부부 사조(四祖)의 성씨를 앞세우고 여러 사항을 적었다

그만큼 우리에게 성의 의미는 컸다.

그러나 요사이 세태가 이상하게 돌아가 성이 남녀 불평등의 마지막 장애라 하여 무의미하게 될 처지에 이르렀다.

호주제가 없는 서양에서는 여자가 결혼하면 남편 성을 따른다.

그래서 지금 서양에서는 남녀가 불평등하단 말인가?

지금 우리나라에서 남녀 불평등이란 사실상 없어지고 있다.

도리어 아버지의 권위가 추락하여 설 자리가 자꾸 좁아지는 추세에까지 이르렀다.

남녀평등을 구실로 가정을 이루는데 있어 남자에게 주어졌던 마지막 보루마저 사라지려 하고 있다.

이혼률도 크게 늘어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성을 자녀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면 이혼이 더욱 조장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성급하게 서양 물질문명을 추종하지만 말고 우리의 전통문화 가운데 지켜야 할 것은 지켜나가야 한다.

성이란 선택의 대상이 결코 아니다.

우리의 성에는 고귀한 역사적 전통과 애정이 담겨있으므로 이를 소중히 간직하고 보호해야 한다.

호주제를 그대로 유지해야 사회적 혼란을 줄일 수 있고 전통문화도 보존할 수 있다.

부계(父系)의 성 때문에 남녀평등이 안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지나간 역사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