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방일 직전, 한 일본 중의원 의원이 창씨개명(創氏改名)은 한국인이 원해서 했다는 망언을 해 국내언론이 시끄러웠다.
그러나 이제는 일본의 이런 자세에 분노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지금 분위기 같아서는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성(姓)이란 개념이 유명무실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호주제 폐지문제를 두고 논란이 뜨겁다.
호주제 폐지의 골자는 부모의 성 가운데 아무 것이나 합의하여 자식들에게 물려주자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한 세대가 지나기전에 성의 의미는 사실상 없어진다.
일본에서 성이 제대로 생긴 것은 100여 년 남짓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호구조사를 위해 성을 급조해준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일본인들에게 성은 별 의미가 없으며, 그들의 시각에선 창씨개명도 고통이 아니었다.
그런데 우리 민족의 경우는 어떤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을 한 사람에게 '에이, 성을 갈 놈'이라고 한다든지, 확신에 찬 말을 할 때 흔히 '내 말이 틀리면 성을 갈겠다'고 했다.
우리에게 성이란 자신의 행동이 조상에 부끄럽지 않고 후손에게도 부끄럽지 않게 만드는 감시자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 이래 호적 작성을 위해 호구단자(戶口單子)를 만들었는데 각 가정 부부 사조(四祖)의 성씨를 앞세우고 여러 사항을 적었다
그만큼 우리에게 성의 의미는 컸다.
그러나 요사이 세태가 이상하게 돌아가 성이 남녀 불평등의 마지막 장애라 하여 무의미하게 될 처지에 이르렀다.
호주제가 없는 서양에서는 여자가 결혼하면 남편 성을 따른다.
그래서 지금 서양에서는 남녀가 불평등하단 말인가?
지금 우리나라에서 남녀 불평등이란 사실상 없어지고 있다.
도리어 아버지의 권위가 추락하여 설 자리가 자꾸 좁아지는 추세에까지 이르렀다.
남녀평등을 구실로 가정을 이루는데 있어 남자에게 주어졌던 마지막 보루마저 사라지려 하고 있다.
이혼률도 크게 늘어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성을 자녀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면 이혼이 더욱 조장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성급하게 서양 물질문명을 추종하지만 말고 우리의 전통문화 가운데 지켜야 할 것은 지켜나가야 한다.
성이란 선택의 대상이 결코 아니다.
우리의 성에는 고귀한 역사적 전통과 애정이 담겨있으므로 이를 소중히 간직하고 보호해야 한다.
호주제를 그대로 유지해야 사회적 혼란을 줄일 수 있고 전통문화도 보존할 수 있다.
부계(父系)의 성 때문에 남녀평등이 안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지나간 역사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