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가 다시 윤리적인 논란에 휩싸였다. 줄기세포 연구에 같이 참여해 온 미국 제럴드 섀튼 교수가 난자 취득 과정의 문제점을 이유로 결별 선언을 했다. 줄기세포의 국제적 공동 연구에 차질이 예상된다. 연구 성과와 별개로 황 교수팀의 도덕성도 자칫 상처를 입을 수 있게 됐다.
섀튼 교수의 결별 선언은 윤리적 문제를 표면으로 하지만, 줄기세포 연구의 주도권 장악을 위한 수순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물론 섀튼 교수의 결별 선언이 곧바로 황 교수팀의 연구에 지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결별 선언은 줄기세포 연구가 가져올 수 있는 생명윤리 문제와 연구 과정의 도덕성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한다.
인간의 생명은 그 자체로 신성하다. 당연히 생명의 존엄성은 어떤 이유로도 침해되지 않아야 한다. 아직은 공상소설이나 영화의 주제에 머물지만 인간 복제의 가능성은 재앙으로 직결된다. 종교계의 '난치병 치료라는 숭고한 목적에도 불구하고 줄기세포 연구가 생명윤리를 훼손해선 안 된다'는 경고는 이런 이유 때문이다.
황 교수팀에 대한 지나친 관심도 금물이다. 지나친 관심과 호들갑은 차분한 연구를 방해할 뿐이다. 연구 과정의 투명성과 도덕성도 중요하다. 연구 목적이 소중하더라도 과정의 부도덕성은 성과 자체의 의미를 축소시킨다.
이번 사태로 황 교수팀의 연구에 차질이 생긴다면 이는 국가적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황 교수팀이 생명윤리를 존중하는 한편 연구 과정의 도덕성을 지켜줄 것을 바란다. 난치병 환자를 비롯, 많은 국민은 이런 도덕적 바탕 위에서 이뤄진 연구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