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웃목 호박에서
허기진 어머님을 읽다가
하룻날 메주 열두 장
하도 방이 넉넉하여
동짓달
기나긴 밤을
몇 번이고 헤아렸다.
진실로 진실로 어렵던
내 철이 든 나날을 두고
오늘은 비로소
천만 석 꿈을 누려
훨, 훨, 훨,
강산을 두루
鶴(학)으로는 못 날으랴.
잰걸음, 종종걸음 속에 설이 지나갔습니다. 설날은 元日(원일)인가 하면 愼日(신일)이기도 하죠. 설의 어원에 이미 삼가고 다잡는다는 뜻이 들어 있다니, 참 놀라운 일입니다.
작품의 문맥으로 봐 정월의 '하룻날'은 아닌 듯합니다만, 아무러면 어떻습니까. 허기진 그 시절의 풍경을 이렇게라도 한번 되새겨보는 게지요. 우리 어머니들은 그랬습니다. 윗목에 모셔둔 늙은 호박 몇 덩이를 겨우내 아껴 쓸 양식으로 삼고, 메주 열두 장이면 적이나 넉넉한 살림살이로들 여겼지요.
철이 들고 맞는 세상의 나날은 또 얼마나 가파르고 팍팍하던지요. 그 숱한 시름 죄 떨치고 훨, 훨, 훨, 깃을 치며 강산을 두루 날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 安分 知足(안분 지족)뿐.
혹, 장정문 시인을 궁금해 하는 이도 있겠지요. 고향은 김천. 196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두메꽃'으로 당선한 뒤 1976년 같은 제목의 시조집을 냈지요. 언제부턴가 통 뵐 수가 없어 산밭에 산그늘이 내리듯 하는 그 시품이 퍽도 그리운 시인입니다.
박기섭(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