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야 놀자] 가격 차별

몇 해 전 제주도 서귀포에서 오분자기 뚝배기로 유명한 S식당을 찾아갔다. 벽에 붙여진 메뉴판을 보니 특 오분자기 뚝배기가 1만6천원, 보통 오분자기 뚝배기가 1만원이었다.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그날 필자는 특 오분자기 뚝배기를 선택했다. 선택의 이유는 제주도에 자주 올 수 있는 형편도 아니고, 제주도 외에서는 잘 찾아볼 수도 없는 특별한 메뉴를 먹기 위해 모처럼 마음먹고 찾아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식이 나오자 이내 실망했다. 뚝배기 그릇은 조금 더 컸지만, 오분자기가 몇 개 더 추가되었을 뿐 아무리 숟가락으로 저어 봐도 '보통 뚝배기'와 '특 뚝배기'의 가격 차이인 6천원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내용물은 없었다. 여러 번 생각해 봐도 보통 뚝배기를 특 뚝배기로 업그레이드 시키는 비용은 2천원 미만이라고 단정 지을 수 있었다. 주위를 둘러보니 특 오분자기 뚝배기를 시킨 사람들은 대부분 등산복을 입은 관광객 행색을 하고 있었고, 택시 기사와 같이 현지 주민들처럼 보이는 사람들은 보통 오분자기 뚝배기를 시켜 먹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관광객과 현지 주민들의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물건에 대해 지불하고자 하는 용의가 다르다. 이러한 차이로 소비자 잉여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초콜릿의 소비자 가격(균형가격)이 600원인데, 저혈당 증세로 현기증이 있는 사람이 지불할 용의는 1천원이라고 하자. 이때 초콜릿의 지불용의 가격에서 균형가격을 뺀 400원은 소비자 잉여가 된다. 오분자기 뚝배기를 '특'과 '보통'으로 나누는 이유는 균형가격은 1만원 정도에 형성되지만, 균형가격보다 더 지불할 의사가 있는 마음먹고 찾아온 관광객에게는 1만6천원의 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식당 주인은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게 되고 손님은 소비자 잉여를 잃게 되는 것이다. 이를 가격차별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고급 레스토랑 메뉴판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A코스 정식', 'B코스 정식' 도 눈 여겨 보아야 할 판매 전략이다. 아래 표는 각 음식에 대해 두 사람이 최대한으로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을 나타내고 있다.

만약 레스토랑 주인이 이 모든 음식을 따로 팔기로 결정한다면(가능한 많이 파는 것이 레스토랑에 유리하다고 가정할 경우), 샐러드의 가격은 4천원, 스테이크의 가격은 1만5천원, 커피의 가격은 3천원을 받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 두 사람 모두 전 메뉴를 다 사먹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레스토랑의 전체 수입은 4만4천원이 되고, 이때 전체 소비자 잉여는 4천원이 된다. 그렇다면 2만3천원에 'A코스정식'을 만들어 팔면 어떻게 될까? 레스토랑의 전체 수입은 4만6천원이 되어 따로 팔 때보다 2천원 늘어나게 되고, 소비자 잉여는 레스토랑의 증가된 수입만큼 감소하여 2천원이 된다. 이를 '묶어 팔기'라고 한다. 어느 정도 독점력을 갖고 있는 생산자가 이윤을 더 크게 만들기 위해 묶어 팔기를 가격차별의 수단으로 자주 활용한다.

가격차별을 염두에 두고 소비한다면 좀 더 합리적인 소비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저녁 시간에 설렁탕집에 간다면, 특 설렁탕과 보통 설렁탕 중에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박경원(대구과학고 교사)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