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재정에서 지방세외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진 한국조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4일 '지방재정 건전화를 위한 지방 세입증대 방안' 보고서에서 "세외수입이 지방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에는 36%였으나 2011년에는 9.7%포인트 감소한 26.3%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방재정을 구성하는 재원의 구조도 달라졌다. 2002년에는 세외수입이 36%로 가장 높고 보조금 등(31.2%),지방세(23.5%), 지방교부세(9.3%) 순이었으나 2011년에는 보조금 등이 35.7%로 가장 높았고 세외수입(26.3%)은 두번째를 차지했다. 지방세(23.6%)와 지방교부세(14.4%)가 그 뒤를 이었다.
지방세와 세외수입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수입이고 보조금 등과 지방교부세는 중앙정부로부터 받는 의존 재원이다.
김 연구위원은 지방재정에서 지자체의 자체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2년 59.5%에서 2011년 49.9%로 9.6%포인트나 감소했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세외수입 비중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방재정 자립도가 2003년 56.3%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1년 51.9%로 떨어진 것도 지방세외수입 징수가 저조한 탓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세목 신설, 세율 인상 등 직접 증세를 통한 지방 자주 재원의 안정성 확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업무 효율성 증대, 부실과세 방지, 탈루'누락 세원 발굴 등으로 지방자주재원을 확충하고 재정 자립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광준기자'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