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회사들의 무차별적인 부가혜택 축소로 올해만 2천만명에 육박하는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연내 피해소비자들이 3천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박대동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2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축소현황' 자료에 따르면 신용카드 부가혜택 의무 유지기간(1년)이 지난 뒤 2년 내 줄인 부가혜택은 올해 들어 3월까지 25개에 달했으며 이로 인해 1천874만명이 불이익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피해규모는 지난해 한 해 동안 부가혜택 축소로 입은 피해(1천600여만명)보다 크다.
아울러 지난해 신용카드회사들이 줄인 부가 혜택은 63개로 2년 만에 10배나 급증하는 등 카드사의 영업 행태가 심각한 상황이다.
연도별 신용카드 부가혜택 축소경향을 살펴보면 2010년 6개, 2011년 18개, 지난해 63개로 급증하는 추세다. 이로 인한 피해 고객도 2010년 98만명, 2011년 1천500만명, 지난해 1천597만명으로 대폭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의무 유지 기간이 지난 뒤 1년도 안 돼 줄어든 부가혜택은 2010년 2개에 불과했으나 지난해는 30개에 이르렀다. 피해 고객도 2만3천명에서 678만명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부가혜택을 축소한 대표적인 카드는 국민카드 '굿데이 카드', 롯데카드 'VEEX', 신한카드 'Lady BEST', 씨티은행 '씨티클리어 카드', 하나SK카드 'TOUCH1' 등이다. 올해는 국민카드 '혜담카드'의 부가혜택이 크게 줄었다. 이들 카드는 부가혜택 이용의 기준이 되는 전월 실적을 올리거나 할인, 포인트, 마일리지, 우대 서비스 등을 대폭 축소해 고객의 비난을 받았다.
이에 금융감독 당국은 신규 신용카드 상품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고 부가혜택 의무 유지 기간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카드 부가혜택을 카드 유효기간까지 원칙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부가 혜택 유지 시 손실이 크게 발생해 축소가 불가피한 상품에 한해 감독규정을 준수하는 범위에서 최소한도로 조정을 허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같은 신용카드 회사들의 먹튀 행태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 이용자들은 지속적으로 해당 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카드 부가혜택 축소 전 가입자는 1천597만명이었으나 축소 후 해지자는 12.3%인 197만명이었다. 10명 중 9명이 부가 혜택이 줄어든 카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