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증후군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주말과 휴일에 여행을 떠날 경우 장시간의 운전으로 어깨, 허리가 뻐근하고 뒷목이 당길 수 있다. 또 맞벌이 여성의 경우 주말과 휴일에 음식 장만, 청소 등 가사노동으로 무릎, 허리, 어깨 등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하면 온몸이 뻐근하고 몸살이 나는 것 같기도 하다.
휴일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은 같은 자세로 오래 있거나 특정 부위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1시간을 일하면 10분에서 15분 정도는 휴식을 취하고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주면 휴일증후군은 한결 덜해질 수 있다. 운전을 할 때도 1시간 운전 후 갓길에 차를 세워두고 호흡을 하면서 몸 풀기 동작들을 하면 피로감이 훨씬 덜하다.
휴일에 쌓인 피로와 통증들을 훌훌 털어버릴 수 있는 동작들을 몇 가지 소개한다. 간단한 소도구를 이용해 전신을 이완시켜주고 뭉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동작이므로 집에서 쉽게 따라 해 볼 수 있다. 운동을 위해 주먹보다 조금 큰 공을 하나씩 준비한다. 공이 지나치게 크면 도리어 몸에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첫 번째 동작은 허리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다. 공을 골반 아래에 두고 천장을 보고 눕는다. 이때 무릎 뒤는 직각이 되게 구부린 상태에서 호흡을 하며 골반으로 공을 지그시 누르면서 움직인다. 골반을 발 쪽으로 기울였다 다시 얼굴 쪽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10회씩 4번 반복한다. 이 동작을 하면 오랫동안 바닥에 앉아 뭉친 허리 근육이 풀리고 요추 커브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두 번째 동작은 목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다. 뒤통수 아래에 공을 두고 눕는다. 머리의 무게로 공을 지그시 누르면서 턱을 위로 들었다가 가슴 쪽으로 내린다. 턱을 들 때 숨을 들이쉬고 내릴 때 내쉰다. 10회씩 4번 반복한다. 이때 머리가 공에서 들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동작은 뒷목이 뻐근한 증상을 개선하고 목의 커브를 만들어 주는 데 도움이 된다.
세 번째 동작은 등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다. 견갑골(날개뼈) 사이에 공을 두고 지그시 누르면서 몸을 좌우로 시소처럼 움직인다. 좌우로 움직인 다음 몸을 대각선으로 움직여 준다. 이렇게 하면 등 근육이 뭉친 것을 풀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응용 동작으로 특히 등의 결리는 부분에 공을 대고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살짝 든 상태에서 눌러주거나 공 위에서 위, 아래, 좌우로 왔다 갔다 움직여 주면 그 부위가 이완된다.
네 번째로 팔과 어깨 근육을 풀어주는 동작이다. 견갑골 아래에 공을 두고 지그시 누르면서 팔을 위로 아래로 천천히 움직이고 팔꿈치를 옆으로 밀었다 당기면서 팔 근육을 풀어준다. 왼팔 8회씩 4번 반복한 후 오른팔도 똑같이 반복한다.
이 네 가지 동작들을 천천히 몸이 이완되는 것을 느끼면서 한다면 뭉쳤던 근육들이 풀리면서 피로회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릎과 다리 근육의 이완을 위해서는 의자에 앉아서 발로 공을 지그시 밟고 앞으로 밀었다가 당기기를 반복한다. 이때 무릎과 좌골, 둘째 발가락이 일렬이 되도록 해야 효과가 있다. 양 발을 앞뒤로 8회씩 4번 실시한다.
오늘 했던 동작들은 평소에도 일을 많이 했거나 체육대회 등으로 근육이 뭉치고 통증이 느껴질 때 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도움말'조영애 바디발란스 원장(www.바디발란스.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