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선거구 2곳을 줄이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새누리당의 선거구획정안이 6일 공개되면서 통합되는 선거구에서 '생존게임'이 격화되고 있다.
인구 수 미달인 상주가 군위'의성'청송에, 영주는 문경'예천에 통합됐기 때문이다. 지역구가 통합되는 의원들의 발등에는 불이 떨어졌고, 현역 의원 간 빅매치가 불가피해졌다.
선거구 조정 대상 지역으로 거론됐던 군위'의성'청송의 경우 상주와 합쳐지는 쪽으로 결론이 나면서 친박 핵심인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이 이번 선거구 획정의 '최대 수혜자'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과거에도 자신의 지역구와 상주가 통합되기 원한다는 뜻을 드러낸 바 있다. 지난 8월 청송군에서 연 주민 간담회에서 지역구 통합 질문이 나오자, 김 의원은 "상주와 통합될 것 같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군위, 청송과 맞닿은 영천보다 의성 바로 옆에 있는 상주와 통합을 선호한 것이다. 상주는 문경과 20㎞ 이내 거리로 가깝고, 법원과 세무서 관할도 같아 공동생활권으로 분류되는 곳인데 의성과 통합되자 정치권에서는 "대통령 정무특보까지 지낸 친박 핵심인 김 의원을 중심으로 경북 선거구 획정이 이뤄졌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김 의원은 게리맨더링(자의적 선거구 획정)이라는 지적에 대해 "저는 아무런 의견이 없다. 우리 지역은 인구가 부족해 어떤 선거구와도 통합돼야 하는 형편"이라며 "획정위가 정하는 대로 따라갈 수밖에 없어 답답한 심정"이라고 했다.
군위'의성'청송과 상주 통합으로 불리해진 쪽은 상주가 지역구인 김종태 의원이다.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군위'의성'청송의 인구를 모두 합치면 10만5천90명으로 10만2천40명인 상주를 앞선다. 지난 2012년 19대 총선에서 상주의 총 투표자 수는 5만6천953명이었으나 군위'의성'청송 세 지역은 총 6만2천562명으로 상주보다 5천609명 더 많았다. 고령층이 많이 사는 군 지역 주민들은 행정구역상 도시로 분류되는 상주보다 실제 선거에서 투표소로 나올 확률이 더 높다. 김종태 의원은 "아직 변수가 있고 확정된 것이 아니다"면서 "여러 의원과 연대해서 경북에서 2석이 아니라 1석만 감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지역구가 통합되는 장윤석 의원도 입장이 곤란해졌다. 현재는 동료 의원이지만 문경'예천이 지역구인 이한성 의원과 내년 총선에서 맞붙어야 한다. 이 의원은 문경'예천이 영주와 붙어야 한다고 줄곧 주장했지만, 장 의원은 영주와 봉화의 통합을 지지했다.
장 의원은 "문경'예천'영주 통합안은 말도 안 되는 안"이라면서 "아직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여러 조합이 있는데 왜 경북만 2석을 줄여야 하느냐. 택도 없는 일이다. 강력하게 저항해서 막아 내겠다"고 반대했다.
반면 경북도당위원장이기도 한 이 의원은 "이번 획정안은 경북 선거구 획정을 볼 때 더 복잡해지지 않도록 하는 부득이한 조치라고 생각한다. 야당도 수긍할 것이다. 더 이상의 언급은 노코멘트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