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예천 삼강서 구석기 유물 160점 발굴…몸돌·찍개 등 출토

역동적 석기 제작법 귀중한 사료

낙동강과 내성천이 만나는 예천 삼강리 인근에서 구석기시대 유물 160여 점이 발굴됐다. 발굴 현장과 4문화층에서 출토된 주먹도끼. 문화재청 제공
낙동강과 내성천이 만나는 예천 삼강리 인근에서 구석기시대 유물 160여 점이 발굴됐다. 발굴 현장과 4문화층에서 출토된 주먹도끼. 문화재청 제공

낙동강과 내성천이 만나는 예천 삼강리 인근에서 구석기시대 유물 160여 점이 발굴됐다.

문화재청은 지난 6월부터 (재)동국문화재연구원을 통해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산 8-1번지에서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4만~8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몸돌과 격지, 찍개, 여러면석기, 망치돌 등 전'중기 구석기시대 유물 160여 점을 출토했다고 18일 밝혔다. 전기 구석기시대는 8만 년 이전의 구석기시대를, 중기 구석기시대는 8만 년에서 4만 년까지의 구석기시대를 말한다.

예천삼강문화단지 조성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삼강리 구석기시대 유적의 지층은 총 5개의 유물층으로 이뤄졌다. 1~3문화층에는 주로 강돌을 가지고 만든 석기가 확인됐다. 1'2문화층 중에는 긴 직사각형 석재를 얇은 너비의 조각으로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해 구석기인들의 역동적인 석기제작법을 보여주는 유물도 확인됐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하단부인 4'5문화층에는 안산암 등 화산암으로 만든 석기가 출토됐다. 차순철 동국문화재연구원 책임조사원은 "구석기시대 유적으로는 상주 신상리 유적과 안동 마애리 유적이 있는데, 출토된 유물 수량이 적고 유물구성상을 복원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번에 발굴된 예천 삼강리 유적은 경북 지역에서 확인된 유적 중 다양한 문화층과 유물 구성을 보여주고 있어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번 유적 발굴 현장은 19일 오후 2시 현장설명회를 통해 연구자와 일반인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