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의원의 복당을 둘러싼 파문으로 정치적 위기에 몰린 새누리당 '투톱'이 19일 회동,당의 내홍 사태가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전기가 마련됐다.
거취를 고민하면서 나흘째 칩거해 온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과 유 의원 복당 결정으로 친박(친박근혜)계의 십자포화를 맞은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만난다.
이번 회동은 정 원내대표의 거듭된 요청을 김 위원장이 받아들여 성사된 것으로알려졌다.지역구인 충남 공주에 머무르던 정 원내대표는 김 위원장을 만나려고 이날 상경했다.
정 원내대표가 김 위원장에게 보일 제스처는 '사과'와 '설득'이다.지난 16일 혁신비대위 비공개회의에서 김 위원장에게 했던 거친 표현을 거듭 사과하고,김 위원장의 당무 복귀를 설득하는 것이다.
정 원내대표는 혁신비대위가 유 의원을 비롯한 탈당 무소속 의원들의 일괄 복당을 무기명 표결하는 과정에서 표결을 미루자던 김 위원장에게 "비대위원들의 의견이모아졌는데 묵살하는 것은 중대 범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 같은 표현에 김 위원장이 불쾌감을 표시하자 두 차례 사과했고,지난 17일에는 언론을 통해 "노여움을 푸시고 (혁신비대위를) 정상화해 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또 사과했지만,김 위원장은 현재까지 묵묵부답이다.
김 위원장은 당시 회의에서 유 의원 등의 복당 문제는 숙고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피력했으나,정 원내대표를 비롯한 다른 비대위원들이 표결 처리로 몰아간 게 "너무 일방통행적이고 위압적이어서 참담했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김 위원장이 정 원내대표의 면담 요청을 수락한 만큼,정 원내대표의 사과를 받아들이고 '상처받은 자존심'을 뒤로 한 채 당무 복귀를 선언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총선 참패의 후유증에 시달리는 새누리당의 '구원투수'로 등판한 김 위원장이 취임한 지 한 달도 안 돼 스스로 물러날 경우 책임 있는 모습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김 위원장이 당무 복귀를 선언하면 유 의원 복당을 두고 빚어진 내홍 사태는 급속히 봉합될 것으로 보인다.복당 결정 직후 당·정·청 고위급 회동이 무산되면서 얼어붙은 당·청 관계도 복원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유 의원 복당 이후 일촉즉발의 상태이던 친박계와 비박(비박근혜)계의 계파 갈등이나 당·청 갈등은 일단 '잠복기'로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친박계 입장에선 정 원내대표가 사과하고 김 위원장이 이를 수용한 마당에 이 사안을 더 끌고 가기에는 '역풍'이 우려될 수밖에 없다.탈당자 복당은 피해갈 수 없는 사안인 데다,복당 결정을 뒤집을 만한 수단도 마땅치 않다.
비박계로선 향후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유 의원이 복당했으며,다른 복당 대상자도 대부분 비박계인 만큼 실리를 챙긴 셈이다.당의 분란이 길어지면 계파를 불문하고 '공멸의 길'을 걷게 된다는 인식도 공감을 얻고 있다.
다만 확전을 자제하자는 두 계파는 오는 8월9일 전당대회가 가까워질수록 당 장악을 위해 친박계 최경환 의원이나 비박계 유 의원 등을 중심으로 세력을 결집,재차 정면 충돌 궤도에 오를 공산이 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