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문에 나온 사진 두 장을 보며 대한민국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생각했다. 하나는 미국을 방문한 박한기 합참의장에게 조셉 던퍼드 미 합참의장이 국방부 벽에 걸린 그림 '영원한 전우'에 대해 설명하는 사진이다. 이 그림은 6·25전쟁 최대 격전으로 꼽히는 장진호 전투 장면을 담았다.
미 제1해병사단 1만5천 명은 1950년 11월 함남 장진군에서 중공군 7개 사단 12만 명에 포위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미 해병 4천500명이 전사하고 7천500명이 부상했다. 덕분에 군인과 민간인 20만 명이 중공군을 피해 피란하는 흥남철수작전이 가능했다. 장진호 전투는 한·미동맹의 근간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북한에 관한 한·미 간 의견 차이가 벌어지면서 양국의 70년 동맹 관계가 위험에 빠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핵을 폐기하려면 두 나라의 공조가 필수이지만 오히려 불협화음이 커지고 있다. 한·미 공조가 잘 안 될 땐 북한에만 이득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미 간 마찰이 빚어지고 우리 정부가 북한에 경도됐다는 인식을 북한이 갖게 되면서 리선권의 '냉면 목구멍' '배 나온 사람'과 같은 막말이 쏟아지는 게 아닐까 싶다.
다른 하나는 지난달 개통한 중국 강주아오 대교 사진이다. 총연장 55㎞에 이르는 세계 최장 해상다리 개통으로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마카오를 연결하는 인구 6억 명, GDP 1조4천억달러의 거대 경제권이 탄생했다. 중국 경제 성장을 웅변하는 또 하나의 랜드마크를 바라보는 마음이 착잡하다.
한국을 배우려 중국이 안달하던 시절이 '있었다'. 철강, 조선, 반도체 등을 통해 단기간에 선진국 문턱에 도달한 우리를 부러워하던 게 중국이었다. 그때 우리는 정부와 기업, 노동자가 하나가 돼 하면 된다는 정신으로 뭉쳤다. 빵의 크기를 키워 모두 잘살자는 공감대가 형성됐고 이것이 성장의 자양분이 됐다. 이제는 빵 나눠 먹기에만 혈안인 나라로 전락했다.
정권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국민이 걱정하는 정권, 국민을 걱정하는 정권이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정권을 이끄는 이들이 지금 정권은 어느 쪽인지 한 번쯤이라도 고민해보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李대통령 "사정기관이 사적 이익 위해 기강 파괴, 용납 안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