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프랜차이즈의 메카로 불린다. 대구에서 인정받은 맛집은 전국구 브랜드가 될 수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지역에서 시작해 전국적인 성공을 거둔 요식업체가 적잖다.
지난해 생겨난 지역 베트남 쌀국수 프랜차이즈 업체가 전국 진출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대구 출신 프랜차이즈 대부분이 치킨, 커피 등 일부 업종에 치우쳐 있는 상황에서 이색적인 메뉴다.
베트남 음식 전문점 '더포' 브랜드를 가진 ㈜루아는 경기도 수원시에 가맹점을 내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더포 매장은 대구를 비롯해 경북·경남 지역 18개로 가맹계약을 맺고 오픈을 눈앞에 둔 곳까지 합치면 20곳이 넘는다. 수원점은 영남권을 벗어난 첫 매장으로 전국구 프랜차이즈로 올라설 준비를 마쳤다.
김현규 루아 대표가 처음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심한 것은 지난해, 창업한 지 6년이 지나서였다. 가게를 운영하면서 프랜차이즈 사업은 생각지도 않았다는 김 대표는 주변의 1년 넘는 권유 끝에 마음을 돌렸다.
김 대표는 "처음에는 그냥 맛있는 음식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 뿐이었다. 주변 권유가 있었지만 체인점도 본점만큼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지 않아 번번이 거절해 왔다"며 "대신 본점의 월매출이 1억원을 넘긴다면 체인점에도 일정 수익을 보장해줄 수 있을 것 같아 하겠다고 했다. 작년에야 사업을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장점은 세심한 관리다. 가맹점주의 지역권을 확실히 보장해 시·군·구 당 매장이 한 곳을 넘지 않도록 했다. 월 매출액이 3천만원을 넘지 않으면 가맹점주가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김 대표는 "법적으로는 반경 500m 이내에 다른 가맹점을 입점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상권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부족하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무분별하게 가맹점을 내주면 다 같이 망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상생하는 프랜차이즈 업체를 만들자는 것이 목표다. 갑질로 문제가 되는 프랜차이즈 업체가 많은데 좋은 사례로 남고 싶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매장 수를 조절하면서 줄어드는 로열티 매출은 본사 매출로 메우면 된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김 대표는 "로열티로 큰 돈 벌 생각을 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직영점에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서 손님들을 많이 불러모으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李대통령 "사정기관이 사적 이익 위해 기강 파괴, 용납 안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