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소방의 화재진압장비 4개 중 1개는 사용기한이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장비의 경우 노후율이 40~50%에 달했고, 수량도 보유기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0일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며 5월 초 기준 대구의 화재진압장비 평균 노후율은 24.6%에 달했다. 장비 4개 중 1개가 사용기한이 지난 것이다. 소방서별로는 북부소방서가 37%로 노후율이 가장 높았고, 달서소방서(35%)와 중부소방서(35%), 수성소방서(31%) 등의 순이었다. 노후율은 정해진 사용기한이 지난 장비의 비율을 뜻한다.
장비별로 보면 동력소방펌프의 노후율이 52.9%로 가장 높았다. 북부소방서와 달서소방서의 경우 각각 7대와 5대의 동력소방펌프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 모두 사용기한이 지났다. 동력소방펌프는 노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대구 전체 보유기준인 62개에도 훨씬 못 미치는 42개밖에 없다.
이 밖에도 '소방용수이용장비'(40.6%), 유류·가스 화재 때 물에 소화약제와 공기를 혼합해 발포하는 '폼관창'(41.4%), '소방호스운영용품'(39.4%) 등의 노후율이 높았다.
이에 대구소방은 올해 1억6천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화재진압장비를 보강할 계획이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안에서 다른 소모품 등도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화재진압장비는 예산의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어 얼마나 보강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관창 등 금속성 장비가 많은 화재진압장비의 경우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면 기한이 지났더라도 사용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며 "이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계속 밀려 소방호스와 장갑 등 다른 소모품을 먼저 구매하게 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