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대구시의 보조금 지원책에 힘입어 매년 전기자동차 등록대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사고 시 수리기간이 길고 비용도 만만치 않아 도로 위 운전자들에게는 기피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5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전기차 신규 보급 대수는 2016년 250대, 2017년 2천127대, 2018년 4천563대, 2019년 4천656대로 꾸준히 늘어, 지난달 13일 기준 누적 보급 대수가 총 1만3천25대에 이른다.
소음과 진동이 적고 친환경적인 장점으로 매년 도로 위 전기차가 늘고 있지만, 운전자들에게는 오히려 조심해야 할 대상이 되고 있다. 주요 부품인 배터리 값이 수천만원을 웃돌아 정비수가가 비싸고 일반 카센터에서는 정비가 어려운 탓이다.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의 생명은 '배터리'다. 차량 의자 시트 2개 정도를 이어붙인 크기로, 대부분 차체 외부 바닥에 탑재된다. 특히 가격이 2천300만원을 훌쩍 넘어 전체 차 값의 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또 배터리 손상 시 부분 수리보다 전면 교체를 하는 경우가 많고, 파손이나 충격 흔적이 있으면 무상보증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전기차 정비 공정이 보편화돼 있지 않아 전기차를 수리해 본 카센터나 정비업체도 시중에서 찾기 힘들 정도다.
지정된 정비업소에서만 가능하다보니 브랜드별 직영센터나 전기충전시설이 구축돼 있는 전담 정비소에 가야하는데, 대구경북에서 전기차 정비를 다루는 곳은 현대차와 기아차의 경우 각 5곳, 3곳에 불과하다.
차량정비사 A씨는 "배터리를 들어내고 다시 탑재하는 장비를 갖추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 웬만한 업체에서는 전기차 수리 장비 구축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근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외제차보다 전기차를 주의해야한다는 웃지 못할 얘기도 나온다. 전기차를 대상으로 사고를 내면 보험처리 비용이 만만찮아 보험 재가입시 할증이 붙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 딜러 B씨는 "전기차 사고의 경우, 내연기관차보다 렌트 기간이나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고, 보험 할증률도 높아지는 편"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되면 전기차를 취급하는 AS센터도 자연스레 늘 것 이라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보급 대수가 1만3천여대에 불과한 현 시점에서 시 차원의 대규모 정비공장을 갖춘다는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맞지 않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